[딜사이트 차화영 기자] 이창권 KB국민카드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해 9년만의 수장 교체라는 KB금융그룹의 대격변 속에서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앞으로 그룹 안에서 역할을 이어갈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다.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체제에서 인정받을 만한 확실한 성과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지난해 말 취임한 양 회장은 그룹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디지털부문과 글로벌부문에 힘을 주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사장의 향후 거취에 KB국민카드가 디지털부문과 글로벌부문에서 거둔 성적표도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사장의 두 번째 임기가 올해 말 끝난다. 지난해 11월 9년 동안 KB금융을 이끌었던 윤종규 전 회장이 물러나고 양 회장이 새로 선임되면서 연말 계열사 사장단에 일부 변화가 생겼다. 그러나 이 사장은 연임에 성공하면서 주목받았다.
당시 이 사장의 연임 배경으로 양 회장의 신뢰가 꼽혔다. 이 사장이 KB금융 전략기획부에서 근무하던 2015년에 KB금융 부사장직을 맡고 있던 양 회장과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 인수 사후 처리 업무를 함께 진행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회장과 계열사 대표로는 처음 손발을 맞춘 만큼 이 사장을 향한 양 회장의 평가도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양 회장은 과거 KB손해보험 대표 시절에 비춰볼 때 인사에서 안정보다 변화와 혁신을 우선순위에 두는 성향으로 평가된다.
KB국민카드의 디지털부문과 글로벌부문 성과가 이 사장의 향후 입지에도 영향을 크게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다. 양 회장은 취임 후 첫 조직개편에서 디지털·글로벌부문 조직을 강화하는 등 두 개 부문에 특히 힘을 싣고 있다.
올해 상반기만 놓고 보면 KB국민카드의 디지털·글로벌부문 성적표는 엇갈린다. 디지털부문은 양 회장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했다고 볼 수 있지만 글로벌부문은 아쉬임을 남겼다는 평가가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KB국민카드는 디지털부문 가운데서도 특히 모바일앱 경쟁력 강화에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모바일앱은 고객이 금융사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경쟁력을 체감할 수 있는 가장 친숙한 수단인 데다 카드사의 경우 간편결제 실적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KB국민카드의 모바일앱인 KB페이의 가입 고객 수는 올해 4월 12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6월 1000만명을 돌파했는데 1년도 안 되는 사이 200만명이 더 늘었다. KB페이는 2020년 10월 출시됐다.
KB페이의 MAU(월간활성화이용자수)도 올해 7월 800만명을 돌파했다. 금융사 대부분이 MAU 1000만명을 목표로 잡는 점에 비춰볼 때 아직 갈 길이 멀지만 KB페이의 경우 수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년 전인 2022년 6월에는 366만명에 불과했다.
MAU는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앱을 이용한 고객 수로 모바일앱 경쟁력을 가늠할 때 지표로 많이 활용된다. 금융권에서는 MAU가 1000만 명은 넘어야지만 플랫폼으로써 경쟁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모바일앱 경쟁력 강화는 이 사장의 성과로 여겨진다. 이 사장은 기존 모바일앱 'KB국만카드앱'의 주요 기능을 'KB페이'에 넘긴 데 이어 두 플랫폼을 통합했다. 이후 생활 콘텐츠 등을 추가하고 플랫폼 성능을 향상하면서 고객 확대에 속도를 냈다.
이 사장은 취임할 때부터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취임사에서 이 사장은 "사석성호(돌을 호랑인 줄 알고 쏘았더니 화살이 박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의 자세로 담대한 도전을 이어간다면 국민카드는 고객의 행복과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꿈을 이루어가는 '넘버원(No.1) 금융플랫폼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글로벌부문은 올해 들어 해외법인 실적이 뒷걸음질하면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 사장 개인으로도 올해 6월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에 있는 현지법인을 찾는 등 신경을 쏟았던 만큼 아쉬움이 남을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카드는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서 모두 4곳 해외법인을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 상반기에 캄보디아법인을 뺀 나머지 3곳 법인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순손실 26억원을 기록했다.
KB국민카드는 올해 안으로 캄보디아법인 2곳을 합병하고 영업지역을 확대해 글로벌 부문 실적 반등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합병하게 되면 비용 측면에서도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