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이준우 기자] 다날의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 페이코인(PCI)이 스테이블코인 급부상에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과거 약 15만 가맹점과 결제 인프라를 구축한 적 있어서다. 페이코인이 가진 가상자산 결제 프로세스는 최근 떠오르는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19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페이코인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150원대에 거래됐다. 90원대에 머물던 이달초에 비해 약 67% 상승한 금액이다.
페이코인은 스테이블코인 수혜 코인으로 꼽히며 지난 10일부터 상승세가 시작됐다. 새 정부가 친(親) 가상자산 정책 기조를 보이면서 스테이블코인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다. 지난 10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내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본격 허용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을 발의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이날 페이코인 시세는 약 151% 급등한 227.29원까지 치솟았다.
페이코인 발행사 페이프로토콜은 이러한 기대감에 즉각 반응했다. 법안이 발의된 지난 10일 페이코인을 글로벌 점유율 2위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C로 자동 전환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페이코인 측은 "사용자는 가상자산 페이코인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실제 결제 시 USDC로 자동 전환돼 복잡한 환전 절차 등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며 "마스터카드를 연동한 실물카드인 '페이코인 마스터카드'로 오프라인에서 결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과의 연계 결제 서비스를 구축하며 금융정보분석원(FIU) 제재 리스크를 해소한 것도 기대감 형성에 탄력을 가했다. FIU는 2023년 1월 페이프로토콜이 "가상자산 직접 교환 뿐만 아니라 매개수단을 이용한 간접 교환 방식을 택하고 있다"며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 계좌 확보를 요구했다. 그러나 페이프로토콜은 실명계좌 제휴 확보를 포함한 가상자산 사업자(VASP) 인증을 받지 못하며 국내 사업을 접어야 했다. 하지만 올해 2월 코빗이 페이코인의 매도와 출금 역할 맡게 되면서 국내 결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게 됐다. 페이코인이 금융 당국의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결제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페이코인의 핵심 비전은 가상자산을 이용하여 기존 결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절차, 높은 수수료, 긴 정산 주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국내 결제 서비스는 정산까지 최소 8개 중간 사업자가 있으며 13개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중간 단계가 많아질 수록 수수료 등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그만큼 정산 주기도 길어진다.
백서에 따르면 페이코인을 이용하면 이러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빠르고 간편한 결제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계약 조건이 미리 정의된 코드로 작성돼 있어 조건이 충족되면 중개자 없이 자동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시스템이다. 중개자 없이 계약이 자동으로 이행돼 거래 효율이 높아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페이코인은 향후 결제수단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될 경우 현재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결제를 허용해 진입장벽을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전통적인 화폐인 원화, 달러 등에 연동돼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만큼 이용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 수단이 될 수 있다.
페이코인 관계자는 "페이코인은 가상자산 결제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실제로 서비스를 한 적도 있기에 어디서든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된다면 바로 결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