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차화영 기자] 신한라이프가 올해 상반기 순이익을 소폭 늘리는데 그쳤다. 투자손익이 크게 감소하면서 2분기에 순이익 역성장이 불가피했던 탓이다. 다만 보장성 보험 판매 확대로 보험손익에서 성장세를 유지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라이프의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순이익은 1587억원으로 전년동기(1779억원) 대비 10.7% 감소했다. 다만 1분기 큰 폭으로 성장한 덕분에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0.4% 늘어난 3129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순이익 감소는 투자손익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사업별로 보면 보험손익 규모가 훨씬 크고 이 부문 손익이 늘었는데도 투자손익 감소를 만회하기에 역부족이었다는 분석이다.
2분기 사업별 손익은 보험손익 2020억원, 투자손익 160억원 등으로 구성된다. 보험손익은 지난해 2분기(1766억원)와 비교해 254억원(14.3%) 늘었지만 투자손익은 지난해 유가증권 처분 등 영향으로 같은 기간 430억원(72.8%) 감소했다.
신한라이프 손익계산서를 보면 투자손익 가운데서도 유가증권 관련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관련손실' 항목이 눈에 띈다. 규모가 1000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610억원)와 비교해서도 63.9% 늘어난 수치다.
투자손익과 달리 보험손익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보장성보험 판매 증대에 힘쓴 덕분이다. 1분기 보험손익은 20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8.8% 증가했다.
신한라이프의 보장성보험 연납화보험료(APE)는 지난해 2분기 2085억원에서 올해 2분기 2888억원으로 36% 증가했다. APE는 월납, 분기납, 일시납 등의 보험계약을 1년 단위로 환산한 것이다.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2분기 7조413억원이던 CSM(보험계약마진)도 올해 2분기 7조709억원으로 약 300억원가량 증가했다.
CSM은 보험사 회계기준이 IFRS17로 바뀌면서 새로 도입된 계정과목으로 이익의 핵심 지표로 여겨진다. 보험사는 미래에 보험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인식하게 될 미실현이익을 부채, 즉 CSM으로 인식한 뒤 계약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를 상각해 이익으로 반영한다.
신한라이프는 재무건전성도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분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 킥스비율) 잠정치는 238%로 집계됐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보험사가 보험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금융당국은 이 수치를 150% 이상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신한라이프는 2분기 순이익 감소에도 신한금융그룹의 핵심 계열사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다. 신한라이프는 신한은행(1조1248억원), 신한카드(1943억원)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실적을 냈다. 그룹 전체 순이익에서 신한라이프가 차지하는 비중은 11.1%다.
다른 금융지주 생명보험 계열사인 KB라이프, 하나생명 등과 비교하면 실적 기여도는 더욱 도드라진다. KB라이프의 2분기 순이익은 994억원으로 그룹 전체 순이익에서 3%가량의 비중을 차지한다. 하나생명은 순이익 47억원으로 1% 비중도 안 된다.
신한라이프는 오렌지라이프와 통합해 출범한 뒤 그룹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2018년에만 해도 생명보험 부문이 그룹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신한금융그룹은 2019년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를 인수한 뒤 2021년 7월 신한생명과 통합해 신한라이프를 출범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