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스턴(미국)=딜사이트 최광석 기자] 국내 바이오산업이 선도자(퍼스트 무버) 역할을 맡지 못할 경우 5년 내 후발주자들에게 추월 당할 수 있다는 위기론이 대두됐다. 추격자(팔로워)로 만족하지 말고 퀀텀점프를 통해 명확한 지위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전문가의 조언이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현지시간 16일 미국 보스턴에서 개막한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 USA)'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뿐 아니라 태국과 인도네시아 등이 막대한 투자를 앞세워 우리나라를 무섭게 쫓아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부회장은 "현재 우리나라는 글로벌 시장에 파이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며 "임상 등 해결해야 할 부분도 있지만 글로벌에서 한국 바이오산업을 보는 관점은 아직까지 경쟁력 있고 긍정적"이라고 운을 뗐다.
하지만 그는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시간이 길지 않다. 3~5년 안에 우리 기업들도 글로벌화 되어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잘 따라왔지만 앞으로도 이렇게 가면 포지션이 애매해진다. 케미컬이지만 일본처럼 글로벌 파마를 가진 것도 아니고 자꾸 바뀌는 정부 정책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도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으로 기술이전 등의 실적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졌다. 우리가 만만하게 볼 상황이 아니다"라며 "미국이 중국을 누르려는 이유도 중국의 빠른 발전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기업들의 노력과 별개로 규제 해소 및 투자 확대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다만 정부가 산업을 주도하기보다 기업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플랫폼)을 만들어주는 역할에 그쳐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 부회장은 "공공(퍼블릭)에서 드라이브를 걸면 산업이 파도를 탈 수 있다. 또 바이오 특성상 정부가 끌고 가는 건 한계가 분명하다"며 "정부는 기업이 뛰어놀 수 있는 플랫폼을 깔아주는데 만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바이오협회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주도로 마련된 한국관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51개 기업들이 입주했다. 이 부회장은 "이번 한국관은 주최 측이 내줄 수 있는 가장 큰 규모"라며 "내년에는 정부와 여러 지자체가 더 많은 기회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