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스턴(미국)=딜사이트 최광석 기자]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AI)에 신약개발을 접목하면 다른 산업보다 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직 선진국과의 격차가 크지 않은 만큼 집중 투자 시 빠르게 가시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현지시간 17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 USA)' 기자간담회에서 "AI와 관련해 모든 산업에 균등하게 투자를 하기보다 성과를 낼 수 있는 특정 분야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노 회장은 먼저 "우리나라는 IT와 데이터 등에 장점이 있고 기업들도 나름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며 "아직 국내 기업들의 명확한 성과가 안보이지만 이는 글로벌도 마찬가지"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그는 "새 정부가 AI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비서실에 AI 수석직을 신설했고 그 밑에 바이오가 들어갔다"며 "아직 어떤 형태로 정책 시행이 이뤄질지 모르지만 AI가 바이오에 집중하는 방향이 잡히면 매우 고무적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조선, 자동차는 이미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가 있다. 그쪽에 많은 것을 투자해도 더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지 않을 만큼 끝까지 가 있다"며 "하지만 제약바이오는 AI와 결합했을 때 가장 큰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분야"라고 피력했다.
노 회장은 또 바이오와 같은 첨단산업에는 포지티브가 아닌 네버티브 방식의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네거티브 규제는 금지된 것이 아니면 모두 허용하는 것으로 포괄주의 방식이라도 불린다. 이는 허용되는 것만 나열하고 나머지를 모두 규제하는 포지티브 규제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노 회장은 "제약은 철저한 규제산업이기 때문에 기존 패러다임을 유지하면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며 "첨단기술이 반영된 신약이나 기기는 철저한 규제 프리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 회장은 "규제 시스템이 변해야 앞으로도 우리나라에서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이 나올 수 있다"며 "바이오 같이 과학기술이 발달한 분야는 아무리 선한 규제도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임상이라는 어려움, 죽음의 계곡을 넘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