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최유라 기자]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성일하이텍은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팩토리얼에너지(Factorial Energy, 팩토리얼)와 차세대 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고체 배터리(SSB) 및 리튬메탈 배터리(LMB)의 생산 스크랩 및 사용 종료 셀(EOL)을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맞춤형 재활용 공정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공동 개발은 성일하이텍의 전북 군산 연구개발(R&D) 센터에서 추진된다. 향후 미국과 유럽 지역으로의 확장도 검토 중이다. 이번 협력은 전기차(EV), 에너지저장장치(ESS), 항공우주, 전동공구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고성능이면서도 완전한 재활용이 가능한 배터리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축적된 리튬메탈 배터리 재활용 기술력을 바탕으로, 팩토리얼이 독자 개발한 FEST®(Factorial Electrolyte System Technology) 배터리 플랫폼에 특화된 재활용 공정을 설계하고 검증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초기부터 폐배터리의 자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미래 배터리 소재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조기에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리튬 함량이 최대 50%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업계에선 2035년까지 신규 배터리에 사용되는 리튬의 12%가 재활용 원료에서 공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진욱 성일하이텍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차세대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와는 물성 자체가 달라, 재활용에도 새로운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번 협력은 성일하이텍이 가진 기술 유연성을 입증하고, 전고체 시대에도 지속가능한 자원 순환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사위(Siyu Huang) 팩토리얼에너지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성일하이텍과의 협력은 진정한 순환경제형 배터리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이정표"라며 "폐배터리를 새로운 기회로 바꾸고, 전 주기적 가치를 회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과 고성능·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