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전한울 기자] LG유플러스가 통신사 담합 의혹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이 기존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면서 재무 숨통을 텄다. 그동안 경쟁사 대비 아쉬운 주주환원책이 주가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밸류업 계획을 가시화하며 기업가치가 본격적인 상승 궤도에 오를 것이란 시장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다.
올해 고정비 및 통합전산망 상각비 완화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면서 '순이익 20%' 범위서 이뤄지는 자사주 매입·소각 효과도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 유료화 등 신사업 수익 채널이 본격 다각화되면서 기업가치에 힘을 불어넣을 것이란 게 시장의 시각이다.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과징금 규모가 기존 예상치 대비 10분의 1 수준에 그치며 밸류업 가능성에 한층 힘이 실리고 있다.
앞서 공정위는 이동통신 3사가 판매장려금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담합했다며 과징금을 부과키로 했다. 이에 업계에선 공정위가 최대 5조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각 사당 최소 1조원에 달하는 재무 부담이 가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LG유플러스가 지난해 3000억원대의 연간 순이익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총 3년치 순이익을 투입해야 하는 셈이다.
하지만 공정위는 최근 과징금 규모를 총 1140억원대로 크게 낮춰 확정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가 부담해야 할 과징금 규모는 383억원으로 기존 예상치 대비 100% 가까이 급감했다.
과징금 리스크가 대폭 완화되면서 LG유플러스 재무 상황에도 숨통이 트였다. 연간 수천억원이 투입되는 AI 투자부터 주주환원까지 다각적인 밸류업 활동이 가시화된 셈이다.
앞서 이 회사는 지난해 기준 현금성자산이 9653억원으로 전년 대비 54.3% 늘었고 주주환원에 쓰이는 이익잉여금도 5조204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올해는 AI 에이전트 '익시오'를 부분 유료화해 수익 채널을 넓히는 데 이어 올 상반기 저수익 사업 및 오프라인 매장 정리 움직임이 본격 확대하면서 영업이익 턴어라운드를 노리고 있다. 이에 따라 투자 및 밸류업 재원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경쟁사 대비 아쉬운 수준을 유지해온 '주주환원' 부문에 본격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 회사의 주가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주주환원' 부문이 꼽혀온 점을 고려하면 기업가치 전반에 본격 탄력이 붙는 셈이다. 실제 이 회사의 주가는 공정위 과징금 확정 전날인 11일 1만450원에서 19일 종가 기준 1만860원으로 일주일 새 3.9% 상승했다. '조 단위' 과징금 리크스가 해소되면서 주주환원책이 본격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이 조성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향후 주가 상승세는 한층 거세질 것이란 게 시장의 시각이다. LG유플러스는 신사업 수익성 및 현금흐름 개선을 통해 주주환원율을 기존 40%대에서 경쟁사 수준인 60%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배당·방어주로서 시장 입지를 한층 강화하는 셈이다.
주주환원율 개선을 위한 '자사주 매입·소각' 움직임도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올해부터 통합전산망 상각비 등 비용 완화로 순이익이 한층 개선될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말 중장기 밸류업 계획을 발표하면서 "당기순이익의 최대 20% 수준까지 자사주를 매입·소각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조 단위 과징금에 대한 시장 불안감이 해소되면서 성장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올라선 상황"이라며 "올해도 이어지는 저수익 사업 정리와 비용절감 움직임은 물론 글로벌 AI 협력 등이 가시화되면서 신사업을 향한 기대감까지 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올해 영업이익 1조클럽에 복귀한다고 해도 지난 수년간 재무 부담이 이어져온 만큼 급격한 변화보단 순차적인 밸류업 작업이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이번 과징금에 대해 "공정위와 방송통신위원회 사이 규제 충돌이 일어난 결과"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방통위 규제를 따라온 만큼 또 다른 규제당국인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 기준이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해 온 '과징금 리스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지로도 풀이된다.
앞서 통신3사는 2014년 말 방통위로부터 과도한 판매장려금 지급 등에 대한 제재를 받은 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시장상황반을 운영하며 자율규제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정위는 이 과정에서 통신3사간 판매장려금 조절 등 담합이 이뤄졌다고 판단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그동안 방통위 규제를 따르지 않으면 단통법에 의거해 과징금 제재를 받았는데 이번엔 오히려 단통법을 지키고 방통위 규제를 따랐다는 이유로 담합 과징금이 부과된 건 납득하기 어렵다"며 "의결서를 수령한 후 법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발표했던 주주환원책인 '밸류업 계획'은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