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기령 기자]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가 국내외 기관투자자와 함께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영향을 진단하고 글로벌 인프라 투자 전략을 논의했다.
KIC는 20일 서울 본사에서 제50차 공공기관해외투자협의회(해투협)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국내 중앙회, 공제회,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해외 투자 담당자가 참석했다. 발표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맥쿼리자산운용의 부문별 대표들이 맡았다.
벤 웨이 그룹 대표는 "주요국 중심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인프라 자산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고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며 "변동성이 큰 현재 투자 환경에서 매력적인 방어 자산"이라고 말했다.
미국 관세 정책이 자국 경제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이어졌다. 리 해리슨 실물자산 대표는"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미국 가중평균 실질 관세율이 올해 20%까지 급등할 수 있다"며 "높은 관세율이 현실화하면 글로벌 주요국은 물론이고 미국도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서 에드 노덤 핵심 재생에너지 대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가격 경쟁력과 전력 수요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볼 때 미국 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전환. 투자. 시장은 매력적"라고 말했다.
1969년 호주에서 설립한 맥쿼리 그룹은 지난해 9월 기준 전 세계에서 약 9427억호주달러 규모의 인프라, 부동산, 사모주식 등을 운용하고 있다. 자회사 맥쿼리자산운용은 2001년 한국에 진출했으며 현재 한국 내 운용 규모는 약 185억호주달러에 달한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박일영 KIC 사장은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글로벌 인프라 투자 시장에서 우수한 투자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KIC는 국내 기관투자자 간 협력과 협업을 위한 글로벌 투자 인사이트의 허브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해투협은 국내 공공부문 투자기관이 해외 투자 과정에서 상호 협력하는 자리다. 2014년 KIC 주도로 설립했다. 해투협은 분기마다 개최하며 현재 총 26개 국내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