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이건혁 기자] 지방금융지주들의 건전성 관리 고민이 커지고 있다. 연체율 및 NPL(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 등이 추진 중인 주주환원 정책에 부담이 될 수 있어서다. 주주환원의 핵심 지표인 CET1(보통주자본)비율은 12%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마냥 안정적인 수준은 아니다. 1분기 실적이 다소 주춤한 것도 불안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의 1분기 연체율은 1.12%로 전년동기(0.90%)와 비교해 0.22%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iM금융은 0.54%포인트 상승한 1.71%, JB금융은 0.35%포인트 오른 1.52%를 기록했다.
NPL비율 역시 악화되고 있다. BNK금융의 올해 1분기 NPL비율은 1.69%로 전년동기대비 0.84%포인트 올랐다. 경남지역 경기 부진에 따른 부실이 확대되면서 지난해부터 NPL 규모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iM금융은 0.33%포인트 상승한 1.63%로 집계됐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관련 1484억원 규모의 연체가 발생한 영향이 컸다. JB금융 역시 1.00%에서 1.19%로 상승했다.
이 같은 건전성 악화는 CET1비율 관리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CET1비율은 RWA(위험가중자산)에 대한 핵심 자기자본비율인데 연체율·NPL비율 상승은 신용리스크 증가로 이어져 RWA를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배당이나 자사주매입시 자기자본을 활용하기 때문에 CET1비율이 안정돼야 주주환원도 가능하다.
당장 CET1 비율이 위험한 건 아니다. 1분기 기준 ▲iM금융 12.02% ▲BNK금융 12.26% ▲JB금융 12.28%로 나타났다. BNK금융은 지난해보다 0.02%포인트 하락했지만 iM금융은 0.03%포인트, JB금융은 0.07%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지난달 KDI가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한 만큼 위험요소가 커지고 있다. 이는 2월 발표한 경제성장률 전망치(1.6%)의 절반 수준이다. 은행대출금 대비 경제 상황에 민감한 중소기업·가계(주택담보대출 제외)대출 비중은 iM금융 66.98%, JB금융 74.49%, BNK금융 67.72%다.
이런 상황에서 1분기 실적 역시 아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iM금융은 1분기 당기순이익 154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8.1%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충당금 적립 확대로 인한 실적 부진 등 일회성 요인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iM금융의 올해 1분기 이자이익은 전년동기대비 5.1%, 비이자이익은 6.6% 각각 감소했다.
BNK금융과 J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3.2%, 6.0% 각각 감소했다. BNK금융은 삼정기업 기업회생 등 지역기업들의 부실 확대로 충당금 부담이 확대된 게 부진의 요인이다. JB금융 역시 다른 지방금융지주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덜할 뿐 수익성 부진은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지방금융지주의 안정적인 주주환원 달성과 지속성을 위해서는 향후 실적 개선이 관건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iM금융과 BNK금융은 2027년까지 각각 40%와 50%, JB금융은 2026년까지 45%의 주주환원율을 목표로 잡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주주환원율 달성 및 지속을 위해서는 CET1 비율은 당연히 안정적이어야 하고 실적 개선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