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https://dtd31o1ybbmk8.cloudfront.net/covers/c8856eb497bb0b851d0d347cb76dbdbb/original.png)
[딜사이트 이소영 기자] 올해 말 임기 만료를 앞둔 이홍구 KB증권 각자 대표이사의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이 대표가 맡고 있는 자산관리(WM) 부문의 약진이 돋보인 데다, 아직 첫 번째 임기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말 취임한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의 이 대표를 향한 평가와 올해 인사 기조에 따라 거취가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조심스레 나온다. 여기에 지난 6월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 조치를 받은 것 역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홍구 대표는 올해 말 임기가 종료된다. 이 대표는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KB증권 부사장이자 WM영업총괄본부장을 맡았다. 이후 지난 1월 대표이사로 취임, 김성현 대표와 함께 각자 대표 체제를 이어오면서 WM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https://dtd31o1ybbmk8.cloudfront.net/photos/acf1408b8955474e4ca90f08326ccf6f/thumb.png)
올해 들어 WM부문의 약진이 두드러지면서 이홍구 대표의 사업 전략도 성공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대표는 올해 3분기 WM자산이 60조원을 넘기는 성과를 냈다. 이는 통합 출범 이후 5배 성장한 수치다. WM자산 규모는 매 분기 증가 추세다. 지난해 말 WM 고객자산 총액 51조원을 기록하며 50조원대에 올라선 이래 ▲2024년 1분기 55조원 ▲2024년 2분기 59조원 ▲2024년 3분기 62조원을 기록 중이다.
여기에 금융상품 운용자산(AUM) 증가 등 외형 확대와 더불어 질적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탁에서만 2조원 이상 늘었고, 채권에서도 약 1조원 증가했다.
WM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인 데다, 아직 첫 번째 임기를 보내고 있는 점에서 업계는 이 대표의 연임 쪽으로 기울고 있다. 통상 금융권에서는 최고경영자(CEO)에게 처음 2년의 임기를 부여하고 성과에 따라 1년 임기를 추가로 부여하는 일이 관행처럼 여겨진다.
다만 이 대표가 취임할 시점과 상황이 변화한 만큼 연임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금융권 일각에서 나온다. KB금융지주의 수장이 9년 만에 바뀌면서다. 지난해 말 취임한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이 대표의 경영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연임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지난해 양 회장은 '쇄신' 카드를 꺼내 들며 계열사 대표 6명을 교체한 이력이 있다.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징계를 받은 점이 뼈아프다. 지난 6월 금융당국은 KB증권 랩·신탁 담당 운용역과 담당 임원에 대해 중징계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 대표에게 경징계인 '주의적 경고' 조치를 내렸다.
이번 징계가 이홍구 대표의 연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자본시장 안정과 직결된 사안에 대해 엄중한 제재를 예고한 만큼, 그 여파는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고경영자(CEO)가 처벌을 받은 건 현재 KB증권 단 한 곳이다. 여기에 박정림 전 대표가 중징계 처벌로 물러난 점을 봤을 때, 징계 자체가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투자증권](https://dtd31o1ybbmk8.cloudfront.net/covers/b8a50a04da94b3b8f82651fc56118324/original.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