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금융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삼성증권
'인뱅은 빼고' 年 9% 청년희망적금 유치경쟁
배지원 기자
2022.02.15 08:50:03
"비대면 서류 위·변조 확인 어려워…시스템 미비"
이 기사는 2022년 02월 15일 08시 49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배지원 기자] 청년을 대상으로 '연 9% 금리' 효과를 보장하는 청년희망적금이 곧 출시된다. 이를 앞두고 주요 11개 은행은 각기 다른 예금상품금리와 우대금리를 내세워 유치에 나섰지만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는 이번 상품을 취급하지 않는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청년희망적금 정식 출시 첫 주인 21~25일에는 5부제 가입방식을 진행한다. 이를 앞두고 18일까지 청년희망적금 가입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미리보기'를 운영 중이다.


청년희망적금은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등 11개 은행이 출시한다. 정부 예산에서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시중이자에 더해 이자를 제공하기 때문에 최대 연간 10%에 달하는 이자소득을 얻을 수 있고 이자소득은 비과세다. 저축장려금은 정부 예산 약 475억원 규모로 지원된다.


한 곳의 은행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출시를 앞두고 11개 은행은 사전 이벤트나 우대금리 제공으로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다. 특히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NH농협은행은 최대 1.0%의 추가 우대금리를 내걸었다.

관련기사 more
카카오뱅크, '최저금리 2.99%' 비대면 주담대 출시 줄어든 금융지주 충당금···커지는 손실흡수력 걱정 금리상승 덕, 작년 4대 금융그룹 이자이익 15%↑ 外 은행 NIM, 상승세 지속···지주의 주주환원 기대↑

이 밖에 IBK기업은행이 최대 연 0.9%포인트, 하나·우리은행은 각각 0.7%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내걸었다. 지방은행은 시중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대구·부산·제주은행이 연 0.5%포인트, 광주·전북은행이 연 0.2%포인트 우대이율을 제공한다.

하지만 청년 세대 고객유치에 적극적인 인터넷은행은 청년희망적금 상품을 취급하지 않아 눈길을 끌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는 이번 정책상품을 내놓지 않았다.


인터넷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의 우대금리 조건이 다양하고, 여러 증명서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비대면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데 부족함이 있었다"며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로 취급하지 못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의 경우에도 병역을 마친 청년을 대상으로 연령 계산 시 군 복무 기간을 제외해주는 조건이 있는데, 서류 접수 및 인증 과정을 은행 점포를 방문해 거쳐야만 한다.


일각에서는 정부 정책상품인 만큼 은행 입장에서 큰 실익이 없어서 참여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따랐다. 이에 대해 인터넷은행의 다른 관계자는 "그동안 청년 전월세 대출 등 시중은행이 참여하지 않는 상품도 적극적으로 취급했다"며 "MZ세대 고객 확보에 좋은 기회지만 시스템 구축의 문제로 참여하지 못한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사이트 유통 포럼
Infographic News
IPO 대표주관 실적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