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박민규 기자] '태양광 반대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공화당)의 재집권이 확정되면서 현지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 한화솔루션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앞서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초 주택용, 상업용 태양광 모두 견조한 수요를 보이는 미국을 신시장으로 주목해 총 3조2000억원 규모의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 '솔라허브' 구축을 결정했다. 현재 조지아주에 있는 연산 3.3기가와트(GW) 규모 모듈 공장은 준공돼 돌아가고 있고, 셀·웨이퍼·잉곳 등 나머지 밸류 체인은 내년 중반부 완공될 예정이다. 이 회사는 미 신증설이 완료된 후 연간 1조원에 육박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제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해 왔다.
하지만 집권이 확정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는 파리 기후 협약 재탈퇴를 선언했으며, 태양광과 풍력에 대해선 "비싸고 발전 효율도 떨어진다"고을 역설해 온 기후 위기 회의론자다. 아울러 태양광 등 산업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화솔루션을 비롯한 국내 태양광 업체들은 실적을 짓눌러 온 핵심 요인이 중국산 저가 제품인 만큼 미국의 중국 견제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인이 반중국 정책에 있어서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나 (대선 경쟁 후보였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보다 강력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트럼프 정권의 재림 자체를 엄청난 위기로 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정부 2기에서는 대중 강경 일변도를 통해 무역 장벽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 물량 유입 자체를 억제하면 미국에서 태양광 수직 계열화를 진행하고 있는 한화솔루션 등 미국에 투자 중인 국내 신재생 에너지 업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런 가운데 IRA의 실질적 무력화는 힘들단 것이 태양광 업계 중론이다. 트럼프는 화석 연료에 친화적이지만, 막상 IRA나 친환경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고 혜택을 받는 주들 대부분은 공화당 표밭이라는 이유에서다. 실제 대표적 공화당 텃밭인 텍사스주 경우 지난 5월 민주당 지역인 캘리포니아주를 제치고 현지 태양광 발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텍사스주 외에도 플로리다주와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주 등 공화당 우세 주의 재생 에너지 발전도 큰 폭 늘어났다.
따라서 지역 수혜 축소에 대한 유권자의 반발이 적지 않을 것을 우려해, IRA 철폐를 강행하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법 개정을 추진한다 해도 상원과 하원을 모두 통과해야 하는 만큼 실제 개정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있을 전망이다.
학계에서도 트럼프 당선이 한화솔루션엔 호재에 가깝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영환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태양광의 경우 반중 정책의 수혜가 예측되므로 한화솔루션에는 긍정적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트럼프의 메시지는 명확하다"며 "시장에서 제품을 판단하게 하고 싸게 공급하겠다는 기조는 에너지 분야에서도 분명하다"며 "이는 한화솔루션이 미국에서 수직 계열화를 통해 원가 경쟁력 향상에 성공한다면 더욱 유리해질 것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다만 전 교수는 최근 아마존의 원전 전력 계약을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가 거부한 전례를 들며 미 에너지 정책 전망이 쉽지 않아졌다는 의견도 밝혔다.
한편 한화솔루션이 미국 대관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대선 직후인 만큼 향후 대책 방안도 수립되지 않은 까닭이다. 다만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트럼프의 측근으로 알려진 에드윈 퓰너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40년 이상 인연을 이어 가고 있는 점은 재조명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한화그룹 차원에서 인맥을 토대로 태양광 등 미국 투자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물밑 소통을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