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블록체인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LG디스플레
인플레 환경 도래, 빛나는 비트코인 가치
이준행
2020.12.10 09:11:20
코로나19가 촉발한 인플레, 헷지 자산으로 재조명 받는 '디지털 금'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8일 10시 45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준행] 비트코인과 같은 신생자산이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 따지기 위해서 가장 첫 번째로 물어야 할 질문은 "인플레이션 환경이 만들어 질 것인지"이다. 

세계적인 대가들도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의견이 첨예하게 갈린다. 실제로 지난 십 수년간 아무리 연준이 양적완화를 해도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았다. 래리 서머스와 같은 경제학자들은 '구조적침체(Secular stagnation)'로 인한 디플레 압력이 양적완화로 인한 인플레 효과를 상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실제로 높은 부채비율과 인구구조, 소득불평등 등으로 인한 수요부진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2021년에는 인플레이션이 고개를 들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첫 번째,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된 실물수요가 2021년 백신 보급과 함께 살아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이는 2020년의 막대한 재정지출에 대한 승수(Fiscal multiplier)를 올리며 인플레이션을 견인할 것으로 보여진다. 두 번째는 지난 40년 간의 세계화 트렌드에 대한 반작용이다. 반세계화는 글로벌 재화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제반 여건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금리를 올리는 선택을 할 수 없을 것이다"라는 시장의 '일반적인 컨센서스'가 구조적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준행 스트리미 대표

코로나19는 전세계 경제를 전시상황으로 만들었다. 긴급재난지출로 2020년 미국의 재정적자는 $3.1조에 달하는 등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0년대를 방불케 한다. GDP의 20%가 넘는 정부의 지출로 위축된 가계소비를 메꾸던 2차세계대전 당시의 경제구조가 재현된 것은 2020년이 처음이다. 동시에 1940년대 초반 막대한 전시 지출에도 불구하고 인플레가 미미했던 이유는 가계가 그만큼 지출을 유보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국의 가계 유보금이 GDP의 15%이상으로 추정되는 기간은 1940년대 초반과 2020년이 유일하다. 그런데 2차세계대전이 끝난 45년부터 48년에 이르는 3년 남짓한 시간동안 달러의 구매력은 25%이상 하락했다. 시스템에 투입된 대량의 유보된 자금이 결국은 가계와 기업의 구매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승수효과를 올린다는 경제학의 명제를 확인시켜준 역사적인 선례이다. 2021년 코로나 백신의 보급이 1945년의 미국의 승전과 경제적 효과가 비슷할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2021년에는 총수요의 반등이 예상된다. 느닷없는 실물수요의 회복은 인플레 요인이다.

관련기사 more
하나금융硏 "내년 선거까지 금리동결 기조" "성장한계 직면 글로벌 경제, 또 한번 위기" "비트코인, 코로나 이후 '디지털 금' 부상" 비트코인 '금'을 넘어설까

수요 측면에 더해서 공급 측면에서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난 20년간 거시적인 측면에서 재화의 공급가격을 낮췄던 가장 큰 외부충격은 2001년 중국의 WTO 가입이었다. 중국 정부의 본격적인 산업화 드라이브 아래 연 소득 1000달러 수준의 수억 명의 노동인구가 갑작스럽게 글로벌 생산 공정에 등장한 것, 그것이 '세계화'의 가장 큰 경제적 효과였다.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세계화라는 노동시장의 공급충격으로 인해 세계경제의 생산단가는 계속 떨어졌다. 그런데 2016년부터 이러한 세계화 트렌드에 소외된 선진국의 노동자들이 다수가 되면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반세계화 정치지형이 만들어졌다. 중국 등 개도국 노동자의 처우는 개선되었지만 미국 러스트벨트의 노동자들은 직장을 잃은 것이다. 


미중패권경쟁과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의 재구성 또한 반세계화의 정치적 동력이다. 반세계화는 곧 전반적인 공급단가의 상승을 의미하며,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공교롭게도 구리, 옥수수 등 주요 원자재 가격 또한 지난 3, 4월을 저점으로 현재 상승 트렌드를 보이고 있다.


총수요와 공급단가의 상승 이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야기시키는 요인은 연준의 금리에 대한 스탠스이다. 실제로 지난 9월 연준은 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를 시사한 바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위에서 언급한 '구조적침체' 국면에서의 금리인상은 자국 경제에 대한 자해행위로, 정책적 선택지가 될 수 없다. 더욱이 현재 해외에서 유통되는 달러표시 채권의 규모만 12조6000억달러에 달한다. 기준금리 인상 시 수많은 개도국들의 파산과 초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할 것이며, 미국 본토로 자본이 대거 이동할 것이다. 즉, 2021년의 거시경제 구조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더라도 금리를 인상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며, 적절한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를 잡힐지 장담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연준과 시장참여자들은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이미 컨센서스를 이룬 듯 하다. 시장참여자들의 인플레에 대한 컨센서스는 곧 구조적인 인플레이션(Structural inflation)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2021년의 시장참여자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 입장에 놓였다. 지난 10년간 2020년만큼 인플레이션 헷지(Inflation hedge) 자산에 대한 분석 보고서가 많았던 해는 없었다. 그 과정에서 비트코인은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코로나19 백신의 보급이나 반세계화 정치지형의 극단적인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2021년은 구조적 인플레이션이 시작되는, 경제 패러다임 전환의 원년이 될 수 있다. 미국 등 주요 경제 주체 입장에서도 극단적인 재정적자와 경기침체 보다는 약달러와 인플레이션이 더 나아보인다. 브릿지워터와 같은 미국의 초대형헷지펀드들도 통화가치 절하를 대비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헷지(Inflation hedge) 자산인 금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격이 꽤나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폴 튜더 존스와 같은 억만장자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금의 저평가된 대안으로 발견하기 시작했다. JP모건과 같은 대형투자은행들도 금의 대체재로서 비트코인에 대한 분석보고서를 내놓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장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비트코인이 '21세기의 금'으로 등극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투자증권(주)
에딧머니성공 투자 No.1 채널 more
딜사이트S 상한가스쿨
Infographic News
DCM 대표주관 순위 추이 (월 누적)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