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산업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KB금융지주4
태영건설, 더딘 수익성 회복에도 재무지표 개선 '착착'
박안나 기자
2025.06.10 07:30:19
1Q 자본총계 4872억…1년 전 -5800억 대비 1조 이상 '쑥'
이 기사는 2025년 06월 09일 05시 30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진=딜사이트DB)

[딜사이트 박안나 기자] 태영건설이 지난해 재무건전성 개선에 성공했지만, 여전히 이익체력 저하에 시달리는 모양새다. 무상감자 등에 힘입어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업황침체 및 그에 따른 자회사 부진으로 순손실을 피하지 못하면서다. 태영건설의 기업개선 계획이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만큼 재무건전성 회복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6356억원, 영업이익 155억원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9% 영업이익은 58.7%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 179억원이었던 순손실은 올해 1분기 385억원으로 적자 폭이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수익성 하락 원인으로는 건설원가 부담 확대 및 계열사 부진이 꼽힌다. 태영건설의 올해 1분기 원가율은 93%로, 지난해 같은 기간 90%보다 높아졌다. 원가율 상승에 따라 영업이익이 줄었고 1년 전보다 순손실 규모도 커졌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태영건설 자본총계는 4872억원으로 집계됐다. 385억원의 순손실을 낸 탓에 지난해 말 5272억원 대비 약 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부채는 3조7967억원에서 3조7486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관련기사 more
태영건설, 동탄2지구 공사비 리스크 덜었다 수원 당수 공동주택, 태영건설 빠지고 정상화 '속도' 워크아웃 태영건설, 31일부터 주식거래 재개 태영건설, 재무제표 재감사 '적정'…주식 거래 재개 주목

자본 감소 탓에 지난해 말 720.2%였던 부채비율이 올해 1분기 769.4%로 상승했지만, 지난해 1분기 6조원에 이르던 부채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점은 긍정적이다. 이에 더해 지난해 같은 기간 자본총계는 마이너스(-)5807억원으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였지만 1년 만에 4000억원대의 자본규모를 회복했다.


태영건설이 1년 전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 순손실 확대 등 이익체력 부진에도 불구하고 재무건전성 개선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2023년 말 워크아웃 개시 이후 시행된 기업개선 계획이 자리하고 있다.


태영건설은 기존 주주들에 대한 무상감자 및 신종자본증권 발행, 채권단 출자전환 등을 통해 자본잠식 해소에 나섰다. 


대주주 등은 100:1, 기타주주는 2:1 비율로 무상감자를 실시해 발행주식수를 4000만주에서 1200만주로 줄였고, 이에 따른 감자차익 139억원을 인식했다. 최대주주인 티와이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던 금융채권 3349억원은 신종자본증권으로 전환했으며, 티와이홀딩스를 비롯해 산업은행, 하나은행, 국민연금공단 등이 들고 있던 6395억원 규모 금융채권은 1주당 2310원으로 출자전환됐다.


무상감자 및 출자전환 등이 실시되면서 지난해 6월에만 태영건설 자본은 1조원가량 증가했다. 덕분에 지난해 1분기 말 마이너스(-)5800억원이었던 자본총계는 2분기 말 4250억원으로 늘어 자본잠식을 벗어날 수 있었다.


태영건설은 앞서 5월에도 삼부토건을 비롯한 채권자와 68회 공모채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출자전환에 나섰다. 2021년 1000억원 규모로 발행됐던 68회 공모회사채의 경우 지난해 7월부터 출자전환을 이어가고 있다. 개인투자자 기준 출자전환에 따른 발행주식수는 총 284만4125주인데, 지난해 7월 1차부터 올해 5월 3차까지 94%가량이 전환을 마쳤다. 남은 17만7365주도 추가로 출자전환을 마쳐 재무건전성 개선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태영건설은 무상감자, 출자전환, 신종자본증권 전환 등을 통해 빠르게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흐름은 계속될 전망이다. 워크아웃 반년 만에 자본잠식 해소 등 성과를 낸 덕분에 산업은행이 유동성 공급을 위해 지원하기로 했던 3000억원 한도의 긴금운영자금은 올해 2월 지원 한도가 1500억원으로 줄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극심한 유동성 경색에 시달리며 워크아웃에 돌입했던 태영건설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재무건전성을 끌어올렸다"며 "자본잠식을 해소하고 부채비율이 낮아진 만큼 자금지원 규모 역시 줄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영건설 주요 재무지표 (그래픽=딜사이트 신규섭 기자)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KB금융지주5
lock_clock곧 무료로 풀릴 기사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딜사이트 회원전용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Show moreexpand_more
종근당
Infographic News
ECM 월별 조달규모 추이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