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규희 기자]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들 사이에서 여러 가지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자본시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공략으로 내놓은 만큼 시장 분위기가 반등할 것이란 기대가 있다.
반면 홈플러스 사태 이후 PE업계를 향한 불신이 커진 상황에서 향후 규제 일변도로 나아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자칫 담보인정비율(LTV) 제한 등 글로벌 흐름과 동떨어진 규제가 추가될 경우 국내 PEF 운용사들은 고사하고 해외 자본이 활개를 칠 것이란 지적이다.
먼저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내놓은 공약을 근거로 한다. 이 후보는 선관위에 제출한 10대 정책 중 1호 공약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 도약'을 내걸었다. 그 이행 방법으로 벤처투자시장 육성을 통해 글로벌 4대 벤처강국을 실현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모태펀드 예산 및 벤처·스타트업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인수합병(M&A) 촉진 등을 통해 벤처투자의 회수시장을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PE업계는 자신과 직접 연결되진 않았지만 벤처캐피탈(VC) 시장 활성화를 1호 공약으로 내놓은 점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공약과 같이 출자자금을 확대하고 M&A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새 정부가 기조를 세운다면 IB업계 전반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도 자본시장에 긍정적이다. 지난달 발표한 'K자본시장 선진화 공약'을 통해 대통령이 직접 해외 순방에서 투자자들을 만나 세일즈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국내 PEF 운용사들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기관투자자(LP)들의 자금 수혈을 학수고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공약이 나오자 기대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반면 대선 이후 서슬 퍼런 규제가 나올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MBK파트너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간 이후 PE업계를 바라보는 시선이 차가워졌기 때문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 등 MBK를 비판하는 과정에서 차입매수(LBO) 방식이나 레버리지 제한 등 글로벌 스탠다드와 맞지 않는 주장들이 나왔던 만큼 대선 이후 시장에 부정적인 기류가 깔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PE업계는 사모펀드의 순기능을 되새겨 지난 IMF 시절 과오를 반복하지 말아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실무와 맞지 않는 규제가 나오게 되면 국내 PE 시장은 순식간에 사장되고 향후 글로벌 PE가 대한민국 경제를 휘젓고 다닐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PE들이 없던 IMF 외환위기 시절 한국 시장은 글로벌 PE들의 놀이터나 마찬가지였다. 론스타, 골드만삭스, 뉴브리지캐피탈, 칼 아이칸 등 글로벌 PE들은 도산 위기에 빠진 대기업들을 헐값에 사들인 뒤 비싼 값에 되팔아 수조~수십조원의 차익을 남겼다.
대표적인 사례가 론스타의 외환은행, 골드만삭스의 국민은행, 진로그룹 딜이다. 론스타는 외환은행으로 7년 만에 4조7000억원의 차익을 남겼고 골드만삭스는 국민은행으로 9000억원, 진로그룹으로 1조원대 수익을 냈다.
업계는 최근 국내 PEF 운용사가 1조원 이상의 초대형 딜을 소화하는 등 국내 하우스들이 해외 자본에 맞설 수 있는 힘을 갖춘 만큼 다음 정권은 규제 우선이 아닌 협의를 통해 정부와 시장의 시각차를 좁혀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 PEF 운용사 대표는 "두 후보 모두 투자업계에 긍정적인 공약을 내건 점은 긍정적인 요소"라면서도 "혹시라도 '홈플러스 사태' 이후 예상치 못한 규제가 나올 수 있어 다들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