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박준우 기자] 코스닥 상장사 '아화공영'의 최대주주인 최삼규 대표이사 회장의 장남 최종찬 대표이사가 약 10년 만에 지분 취득에 나서 이목이 집중된다. 최종찬 대표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취득하는 만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목적이라는 게 이화공영 측 설명이지만 업계의 시각은 다른 탓이다.
업계에서는 최종찬 대표가 10년만에 지분을 늘리는 만큼 이화공영 지배구조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최삼규 회장의 보유 지분을 승계하기 위한 사전작업에 나섰다는 관측도 나온다. 차남인 최종철 씨가 보유 중이던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는 점도 이러한 관측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화공영은 지난 13일 7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이화공영 공동대표인 최종찬 대표다. 발행가액은 2825원, 발행주식 수는 247만7876주다. 유증 대금 납입일은 이달 23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내년 1월 24일이다.
이화공영은 이번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운영자금 및 채무 상환에 사용할 계획이다. 최종찬 대표는 이번 유상증자로 취득한 신주에 대해 1년간 보호예수기간을 설정했다.
통상 유상증자는 시장에서 악재로 해석되는 경향이 짙다. 다만 이화공영의 이번 유상증자는 채무상환 등을 목적으로 오너일가인 최종찬 대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최대주주 등 오너일가의 지분 취득은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면 이화공영의 지배구조는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현재 최대주주인 최삼규 회장의 지분율은 35.51%(703만3933주)다. 최종찬 대표는 지분 4.91%(97만2380주)를 보유하고 있다.
신주 발행가액 기준으로 유상증자가 마무리되면 최종찬 대표의 보유 지분율은 15.48%로 상승할 전망이다. 반면 최삼규 회장의 보유 지분율은 31.59%로 낮아진다. 다만 지배력은 더 강화된다. 최삼규 회장과 최종찬 대표의 보유 지분율이 기존 40.42%에서 47.04%로 6.62%포인트 상승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유상증자를 두고 최종찬 대표의 승계 작업이 본격화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종찬 대표가 10년 만에 지분을 확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014년 6월 무상증자로 16만2063주를 취득한 것 외 지금까지 최종찬 대표의 지분 변동은 없었다.
이미 경영 승계가 마무리된 후 지분 승계만 남겨둔 상황이라는 점도 이러한 관측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앞서 최종찬 대표는 2002년 이화공영 기획이사로 부임했다. 이후 2014년 대표이사 자리에 올라 최삼규 회장과 함께 10년여 동안 이화공영을 공동으로 이끌어오고 있다.
여기에 차남인 최종철 씨가 지난 11월 보유 중이던 이화공영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는 점도 최종찬 대표의 지분 승계 작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는 이유다. 앞서 최종철 씨는 보유하고 있던 이화공영 주식 92만2944주(4.66%)를 모두 11월 14일~15일 2거래일 동안 장내매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화공영 관계자는 "이번 유증은 단순히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이라며 "지분 승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이번 유상증자로 이화공영의 유동성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올해 3분기 기준 이화공영의 총차입금은 231억원으로, 전액 유동 차입이다. 1%대 건설공제조합 대출(44억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4~5%대 이자로 시중은행으로부터 조달했다. 104억원의 현금(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기타유동금융자산)을 보유하고는 있지만, 대부분 대출 담보로 잡혀있다.
앞서 이화공영은 지난 11월 토지 매각을 통해 103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유증 완료 시 70억원을 추가로 손에 쥐게 된다. 차입금 상환에 유증으로 조달하는 자금 전액과 토지 매각 대금 일부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운영자금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1956년 설립된 이화공영은 건축과 토목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1000억원대 미만의 국가 기반 시설물과 오피스, 제약시설물 등이 대표적이다. 현재 민간 부문 수주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내년 일감을 선제적으로 확보한 뒤 내년 초부터 관급 기관 수주 확보에 집중할 것으로 전해진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