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유범종 기자] 한국지엠의 모회사인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2025년까지 한국시장에 전기자동차 10종을 출시한다. 다만 출시되는 전기자동차는 한국에서의 생산이 아닌 전량 수입할 계획이다. 국내 생산기지에서는 이미 성공이 입증된 트레일블레이저와 오는 2023년 출시 예정인 신형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CUV)의 안정적 생산체제 구축에 집중할 방침이다.
한국지엠은 12일 인천시 부평구에 소재한 GM디자인센터에서 온라인 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GM 한국사업장에 대한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스티브 키퍼 GM 수석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GMI) 사장,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 로베르토 렘펠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 사장 등 각 사업장의 최고위 임원들이 참석했다.
스티브 키퍼 GM 수석부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2025년까지 한국시장에 새로운 전기차 10종을 출시할 것"이라며 "보급형 모델부터 고성능 차량, 트럭,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크로스오버, 럭셔리 모델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전기자동차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다만 한국에 출시될 10개의 신규 전기자동차는 전량 수입될 예정이다"며 "한국 공장에서는 트레일블레이저의 성공 유지와 CUV의 출시를 위한 안정적 생산체제 구축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국지엠 경영진들도 이날 국내 사업장 운영과 신차 출시와 관련한 계획을 밝혔다.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은 "한국 사업장은 내수 생산제품과 글로벌 수입제품을 병행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판매량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는 국내 고객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주는 동시에 고객들이 기대하고 누릴 수 있는 경험을 확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카허 카젬 사장은 "또한 이미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에 이어 2023년 초 예정된 차세대 크로스오버 CUV를 출시해 생산 역량을 최대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차량 연구조직인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도 전동화(all-electric) 전략 강화를 위해 전기자동차 전담 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베르토 렘펠 GMTCK 사장은 "GM의 전동화 전략에 있어 한국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현재 약 500명의 한국 엔지니어들이 전기자동차 개발에 전념하고 있는데 2023년까지 전담 인력을 기존대비 두 배로 확대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