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김진욱 기자] 원화로 가상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국내 5대 거래소 가운데 하나인 고팍스(스트리미)의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졌다.
최근 고팍스 매각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파악돼 당국이 과연 원화 거래소 자격 갱신을 해줄 것인지 관심이 집중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와 국내 기업 메가존의 고팍스 지분 인수 관련 논의가 지난 10월 이후 접촉이 없이 중단됐다. 사실상 협상이 결렬된 것이다.
바이낸스는 지난해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 고파이 사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고팍스 지분 67.45%를 확보하며 국내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하지만 금융위는 사업자 변경 신고를 수리하지 않았다. 해외 자본의 국내 진출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다.
최근에는 가상자산사업자(VASP) 갱신 신고 절차가 진행 중이다. 국내 원화마켓 거래소들은 지난 2021년 VASP 신고를 마치고 사업을 진행해 왔다. 해당 신고는 3년마다 갱신을 해야 한다. 올해가 그 해다.
고팍스는 지난주 갱신 심사 절차를 마쳤다. 그러나 금융위는 이에 대한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앞서 진행된 업비트의 갱신 심사 결과도 아직 통보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에서 고팍스는 앞날을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파이 문제로 1500억원에 가까운 부채가 안고 있는 고파이는 지금까지 바이낸스와 기존 주주들이 대여 개념으로 운영자금을 조달해 왔다.
더 큰 불확실성은 VASP 신고 갱신이다. 당국은 고파이에 바이낸스가 지분 10%선으로 내리기를 원하며 국내 자본에 대주주 자리를 내줄 것을 권고해왔다. 바이낸스와 메가존이 지분 인수를 놓고 협상을 펼친 이유다. 하지만 협상이 결렬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신고 갱신 절차는 진행 중이다. 연말이고 신고 갱신 절차가 진행 중인 현실에서 메가존을 대신할 원매자를 찾기는 쉽지 않다.
만약 고파이가 VASP 갱신이 되지 않을 경우 바이낸스마저 고파이에서 손을 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향후 운영이 불가능하고 폐업 절차를 밟아야 한다. 고팍스 직원들도 직원이지만 고파이에 자산을 예치를 했던 3200여명의 투자자들은 자산을 거의 날려야 한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해 당국이 해외 자본의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대한 지배를 꺼리고 있다. 하지만 자금 세탁 방지는 다양한 인증 과정과 정책을 통해 규제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해외 자본의 국내 가상자산 시장 진출에 대한 견제 방안의 묘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