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조은지 기자]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긴급 서버 점검을 벌이면서 2시간 넘게 거래가 중단됐다. 이에 업비트 거래 시스템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이용자 보호 의무가 더욱 명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업비트는 3일 오전 6시경부터 2시간가량 접속 장애를 겪었다. 업비트는 거래 정지 약 30분 후인 6시26분경 공지를 통해 "시스템 모니터링 과정에서 체결 진행에 이슈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긴급 서버 점검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점검에 따라 전체 마켓(KRW·BTC·USDT 마켓) 체결과 주문이 중단됐고 코인 모으기 서비스도 점검에 들어갔다.
업비트는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 거래소다. 가상화폐 통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지난 12월 기준 업비트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약 73.87%에 이른다. 이어 빗썸(23.30%), 코인원(1.99%), 코빗(0.65%), 고팍스(0.18%) 순이다. 업비트는 2위 사업자인 빗썸보다 3배 이상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 규모가 상당히 커졌다. 여기에 업비트의 집중도 70~80%에 이르면서 업비트의 거래 중지는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달 25일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1월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수는 1559만명으로 집계됐다. 국민 3명중 1명이 가상자산을 거래하고 있는 것이다. 거래 규모도 상당하다. 일평균 거래 대금이 지난해 11월 14조9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시장(9조9214억원)과 코스닥시장(6조9703억원) 거래대금을 합한 것과 맞먹는 규모다.
국내 거래량의 70~80%를 차지하는 업비트의 서비스 장애는 이용자들에게는 기존 유가증권 거래소 시장에서 일부 증권사 전산 서비스 장애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호황을 이루고 있는 만큼 이번 업비트 거래 중단 피해가 유의미할 것이란 분석이 힘을 얻을 수 밖에 없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의 미 대선 승리 이후 가상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고 이로 인한 가상자산 거래대금이 국내 증시 거래대금을 넘어서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가상자산거래소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전산 시스템 강화와 정보보호 투자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가장화폐 거래소가 금융감독원의 제도권 안에 편입되는 만큼 이용자들에 대한 보호 규약 및 적정 제재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국내 증권사의 경우 일시적인 장애로 인한 거래중단의 경우 이에 대응하는 내부 시스템 및 자동화 로직이 구축돼 있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토스증권의 경우 지난해 8월 블루오션 시스템 관련 전날 국내 증권사들에서 발생한 미국주식 주간거래 결제분 취소 처리를 빠르게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 거래소의 경우 지난해 7월19일 가상자산법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으로 금융당국의 관리 감독에 편입됐지만 아직까지 시스템 장애 대응과 보상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용자 보호법을 기반으로 거래소 측에서 당연히 지켜야 할 의무에 대해 상시 감독하고 있다"며 "이번 업비트 전산장애는 거래소 쪽에서 자체 보상 기준이 있기 때문에 따로 제재가 들어가진 않지만 해당 보상 기준이 합리적인지 등에 대해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업비트 관계자는 "업비트 이용자에게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며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시스템과 인프라를 면밀히 점검하는 등 재발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일 발생한 거래 장애의 경우 온라인으로 보상 신청을 하면 내부 기준을 토대로 이용자에게 보상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