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산업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주식회사 엘지
"건설산업 위기 극복 위해 재탄생 차원 혁신 필요"
김정은 기자
2025.03.18 18:26:40
건산연, 개원 30주년 기념 세미나…가치·산업체계·상품 등 혁신해야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8일 18시 26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딜사이트 김정은기자)

[딜사이트 김정은 기자] "건설산업이 직면한 위기는 단기적인 조치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건설산업 전반에 걸쳐 '재탄생' 차원의 혁신이 필요합니다."


건설산업의 침체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만큼 근본적인 시스템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전문가들은 건설산업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건설 규제에서 벗어나고 지원 차원의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입을 모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8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 2층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건산연의 30주년을 기념하며 개최됐으며,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에 대해 다뤄졌다. 이날 발표자들은 건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업 중점가치, 산업체계, 시장‧상품 등 3대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공감했다.


우선 첫 번째 발제자 손태흥 건설기술관리연구실장은 건설산업 재탄생 필요성을 강조했다. 손 실장은 "사회간접자본 시설 확충과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근간 산업이지만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라고 진단하며 "건설산업이 국민의 미래를 건설하는 국가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more
"건설업 3대 악재 위기…생태계 혁신 필요" 주택공급 절벽 위기, 서민 주거안정 해법은

이어 발제자들은 ▲산업 중점가치 ▲산업체계 ▲시장‧상품 각 혁신 전략에 대해서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선 김영덕 선임연구원은 산업 중점가치 대전환에 대해서 건설산업 주체들의 역할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건설산업의 대다수 문제들은 건설산업의 참여 주체들과 소속집단의 인식과 관행, 문화 등에 기인했다"며 "정부, 공공 및 민간 발주자, 건설기업 등 건설산업의 참여주체들이 협력, 공정, ESG 등의 가치를 기반으로 각자의 기능과 역할을 재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영준 건산연 미래정책연구시장이 산업체계 대전환을 위해 법률·업역·업종 체계를 통합·재구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건설산업의 부흥을 위해 효율적인 산업구조를 정립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다. 특히 전 실장은 "건설업계에 만연한 공기와 공사비 지급 문제 등을 시급히 해결하고 과도한 건설 규제를 타파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덩어리 규제 유형별 규제맵 제작, 유명무실한 규제 일몰제 관리 강화 등 건설규제 관리·정비 절차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나경연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이 미래 건설시장을 대비하기 위한 건설상품 모델 및 시장혁신을 강조했다. 최근 사회 및 인구구조가 급격히 변화하고 기술발전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맞는 맞춤형 상품과 시장 창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나 실장은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노후 주택 및 도시 모델 개발, 스마트 건설 등이 필수적인 시대"라며, "민간 주도의 재원을 조성하고 인허가 리스크 절감 및 공공지원을 통해 건설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 한승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사장은 "건설산업의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자리"라며 "오늘 발표된 내용이 건설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새로운 건설업의 미래를 맞이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사이트S 성공 투자
lock_clock곧 무료로 풀릴 기사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딜사이트 회원전용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Show moreexpand_more
KB금융지주2
Infographic News
2021년 월별 회사채 만기 현황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