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최령 기자] 인바디가 외연 성장을 위한 해외 영토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인도사업은 차기철 회장의 아들인 차인준 인도법인장이 직접 진두지휘하고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인도법인은 해외 주요 매출지역인 미국·유럽·일본 등과 비교했을 때 그 성과가 아직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향후 인도법인에서의 성과 창출이 차 법인장의 경영능력을 가늠할 잣대가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인바디는 총 13개의 해외법인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올 상반기 전체 매출 986억원 가운데 81%(798억원)을 해외 수출을 통해 올렸다. 그 중 가장 큰 매출을 기록한 지역은 미국이다. 미국은 올 상반기 19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어 유럽 89억원, 일본 46억원 순이었다.
반면 오너 2세인 차인준 법인장이 총괄하고 있는 인도법인은 상대적으로 성과가 미미하다. 차 법인장은 2015년 인바디에 입사해 주로 해외사업파트에서 근무해왔다. 입사 7년 만인 2022년 사내이사에 등재됨과 동시에 인도법인을 맡게 됐다.
인도의 경우 방대한 시장 규모와 헬스케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국가적 분위기 등을 고려해 인바디 내부적으로도 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인도법인의 매출은 21억원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미국 매출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인도법인과 유럽법인은 2016년 처음 신설됐다. 유럽의 경우 법인 설립 이전부터 각 국가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대리점 유통망을 통해 이미 매출이 발생하고 있었다.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던 시점에 법인이 설립되면서 영업 유통망을 모아 관리할 수 있게 됐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매출을 올릴 수 있었다.
그러나 인도의 경우는 달랐다. 인도시장에서 인바디의 유통망은 전무했다. 특히 사업의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한 헬스케어사업 특성상 현지에서 자리를 잡기까지 시간과 비용투자는 불가피하다는 회사 측 설명이다.
인바디 관계자는 "현지 업력의 차이와 기존 영업 유통망 유무의 차이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국·일본·유럽법인과 인도법인의 매출 규모를 현재의 수치로만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결국 인도법인의 향후 성과 창출이 차 법인장의 경영능력을 입증할 기회이자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바디는 현재 차 법인장을 주축으로 성과 증대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인도 영양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임상포럼 등을 진행하며 인바디를 활용한 영양 컨설팅 등에 대해 알리는 한편 각종 전시회·학회 등에서 업계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인바디의 필요성을 꾸준히 알리고 있는 것들이 대표적이다.
또한 회사가 올해 처음으로 도입한 '글로벌 비즈니스 디벨로퍼(Global Business Developer)' 채용을 통해 인재 육성에도 꾸준한 투자를 이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인바디 관계자는 "체성분 분석시장을 완전히 새롭게 개척하고 현지시장에 그 필요성을 이해시켜 나가는 영업방식으로 해외지역에 침투한다"며 "성장궤도에 오르기까지 시간과 비용투자는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도법인은 현재 메디컬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올 상반기에만 지난해 연 매출(24억원)의 89%(21억원)를 달성하며 시장 규모 확대에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