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박성준 기자] 건설공제조합의 신임 이사장 선출을 앞두고 사무금융노조 건설공제조합지부(노동조합)에서 김상수 운영위원장의 과도한 경영개입에 대해 지적하고 나섰다. 이사장 선출 과정부터 이후 건설공제조합의 경영까지 김상수 운영위원장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건설공제조합지부는 이러한 연결점이 향후에도 조합에 문제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지난 2월부터 신임 이사장 선임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노조는 신임 이사장 선출을 위한 총회를 앞둔 18일 김상수 운영위원장이 영향을 미치는 운영위원회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조의 설명에 따르면 건설공제조합의 경영상 수장이 이사장이지만, 상위 기구로 운영위원회가 있다. 현재 운영위원장인 김상수 한림건설 회장이 건설공제조합 내부 경영개입과 인사개입에 나선다는 주장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4월 선임됐다. 이전에는 대한건설협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대한건설협회장을 지낸 김 위원장이 조합 운영위원장에 선임된 배경에 대해서도 논란이 제기된다.
2021년 이전까지 대한건설협회장이 되면 당연직으로 건설공제조합 운영위원회 위원이 됐다. 하지만 국토교통부가 건설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공제건설조합 운영위원회에서 조합 이사장과 협회장의 당연직 위원 자격을 삭제했다. 국토부는 이같은 시행령 개정 배경으로 협회장은 건설사업자 이익단체의 대표이므로 협회장과 공제조합은 이해상충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공제조합도 이러한 시행령 개정에 동의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대한건설협회장 임기를 마친 후 건설공제조합의 운영위원장 자리에 앉게 되면서 이러한 시행령 개정안 사항을 피했다. 일각에서는 건설공제조합에 관치를 완전히 배제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하기도 한다.
다만 노조는 김상수 운영위원장이 끝까지 운영위원회에 소속돼 과도한 경영개입에 나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건설공제조합 이사회에서 결정한 사항도 운영위원회에서 반려되면 그걸로 끝인 무소불위의 권력이라고 덧붙였다.
연장선상에서 이사장의 인사에도 김 위원장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자는 "김 위원장이 건설협회장 출신이다 보니 조합 내에서도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사장 선임 과정에서도 김 위원장의 복심이 반영되고 있다는 것이 공공연한 사실"이라고 전했다.
노조 역시 이러한 의견에 동의하며 이번 이석용 내정자는 물론 박영빈 이사장 역시 김 위원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이란 의혹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특히 두 인물 모두 금융권 인사인 점을 들어 전문성보단 비용 통제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사무금융노조 건설공제조합지부는 신임 이사장 선임을 반대하는 시위장에서 크게 4가지 사안을 요구했다. ▲공정하고 투명한 이사장 선임 절차 보장 ▲운영위원장의 과도한 경영 개입 중단 및 지배구조 개선 ▲신입직원 채용 정상화 및 인력 감축 중단 ▲조합의 자율경영 보장 및 정상화 추진 등이다.
박창성 건설공제조합지부장은 "새로운 이사장이 본연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김상수 위원장이 권한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을 중단해야 한다"며 "운영위원회는 권한만 있고 책임이 없는 상위기구 역할이라 할 수 있는데 현 체제에서는 이사장이 운영위원회의 꼭두각시 노릇을 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딜사이트는 김상수 운영위원장에 대한 노조 측 주장을 건설공제조합에 문의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