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배지원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으로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한국거래소의 상장 심사 기조에 변화가 생길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유례없이 까다로운 상장 심사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한국거래소의 방향성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그 시기와 방향에 대해서는 업계의 해석이 엇갈린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기업공개(IPO) 시장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이후 한국거래소의 상장 심사 기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국의 변화가 상장 제도 전반에 미칠 파급력이 적지 않아서다.
특히 최근까지 상장 심사가 까다로웠던 만큼 기조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한국거래소의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자진 철회하거나 미승인된 기업이 46곳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는 종전 최고치였던 2021년의 38곳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상당수는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했던 기업들로, 잠정적 미승인 통보를 받고 철회한 사례가 많아 실질적으로 심사를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기술특례 상장은 매출이나 수익이 부족해도 기술력과 성장성을 인정받으면 상장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다.
최근 들어 기술성 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매출 실적이나 수주 계약을 제시하지 못하면 문턱을 넘기 어려워졌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일반 상장 요건에 준하는 기준을 요구받고 있다"며 "혁신 기업을 키우겠다며 만든 제도가 심사 강화로 점점 유명무실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가 기존의 기조를 당분간 유지하면서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보수적인 시각을 견지한 반면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심사 기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A 증권사 IPO부서 관계자는 "심사과정 경험상 심사부서의 심사역들은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어 더 높은 눈높이로 재단하려는 경향이 있다"면서도 "정책적 방향성에 따라 심사결과가 달라지는 영향도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사장이나 본부장 선에서 특례상장이나 중소기업 활성화 쪽으로 방향을 잡아주면, 그 아래 부서장들이 그에 맞춰 유연하게 조율하는 구조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권 교체로 한국거래소의 주요 인사가 달라지면서 심사 정책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
B 증권사 관계자는 "정권이 바뀌면 이사장도 새 인물이 오게 되고, 심사 철학과 방향성도 그에 따라 바뀐다"며 "정권이 유지되더라도 경제정책의 변화가 있다면 그 영향은 심사 기조에도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의 심사기조는 윗선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영향이 있어, 탄핵이 결정된 이상 바로 심사기조가 완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시장 일각에서는 오히려 투자자 보호 기조가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의 야권에서 정권을 잡을 경우, 상장 과정의 투명성과 시장 신뢰 회복, 투자자 보호를 핵심 과제로 내세울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이유에서다. 기업 자금조달 활성화보다 투자자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는 기조가 정권 전환을 계기로 더 확산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한국거래소가 추진해 온 '밸류업(Value-up)'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C 증권사 IPO 담당자는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행정부와 금융당국이 몇 년에 걸쳐 준비한 국가 전략이 하루아침에 바뀌진 않는다"며 "다음 정부가 어떤 키워드를 가져오든, 밸류업이라는 큰 틀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