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서재원 기자] 조익재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 투자운용본부장의 임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후임자 선정이 지연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책자금을 받는 기관 특성상 임원 인사 역시 정부와 금융위원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본격적으로 탄핵정국에 돌입하면서 당분간 성장금융의 인사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성장금융 9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내년에 성장금융의 모든 사내이사 임기가 만료된다. 현재 성장금융 내 사내이사는 허성무 대표와 투자운용본부장을 맡고 있는 조익재 전무, 경영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는 이상호 전무 등 총 3명으로 구성돼 있다. 조 전무는 내년 2월18일, 허 대표와 이 전무는 8월31일 임기가 만료된다.
성장금융 임원의 경우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을 받아 후보를 선발하고 각 기관의 협의와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한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주사로 참여하는 기관들이 임원 후보를 직접 추천할 수 있다. 정기주총이 3월에 열리는 점을 감안하면 조 전무의 후임자 선정까지 약 3개월 점도 시간이 남은 셈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내년 주총 이후에도 조 전무가 본부장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본격적으로 탄핵정국에 돌입하면서 성장금융의 인사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여기에 조 전무가 성장금융 내 최고투자책임자(CIO) 역할을 맡고 있는 만큼 해당 자리를 공석으로 두기보다는 조 전무가 당분간 자리를 지킬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성장금융의 경우 공공기관은 아니다. 다만 정책자금의 비중이 크고 금융 공공기관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어 정부와 금융위원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전해진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성장금융의 주주는 ▲한국거래소 19.7% ▲한국예탁결제원 19.7% ▲한국금융투자협회 19.7% ▲한국증권금융 19.7% ▲산업은행 8.7% ▲기업은행 7.4% ▲은행권청년창업재단(디캠프) 4.8% 등으로 구성돼 있다.
내년 하반기 임기가 만료되는 허 대표와 이 전무의 후임자 선정도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리는 최장 180일 이상 진행하며 이를 통과할 경우 60일 이내로 대선을 치러야 한다. 만약 해당 일정이 모두 최장 기간 소요된다면 가정하면 차기 대선은 내년 7~8월쯤 이뤄지는 셈이다.(헌재 심리 180일+대선 준비 60일).
업계 한 관계자는 "성장금융이 민간 기관이라 하더라도 정책 자금을 받는 기관 특성상 금융당국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향후 국정 안정이 이뤄질 때까지 성장금융 역시 임원 인사가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헌재 판결이 지연될 경우 하반기 있을 대표이사 선임 건 역시 내년 이맘때쯤 이뤄질 것 같다"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