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주명호 기자]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실태평가에 나서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당장 대상은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 위주지만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및 연체율 등 자산건전성 항목을 주요 기준으로 내세우고 있는 만큼 대형 저축은행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저축은행업계는 지속된 고금리 기조와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부실우려로 인해 지난해부터 NPL 비율 및 연체율이 빠르게 치솟은 상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수도권에 위치한 저축은행 1곳을 포함, 저축은행 3곳에 대한 경영실태평가를 시작한다.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한 경영실태평가는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했던 2011년 이후 약 13년 만이다.
이번 경영실태평가의 핵심은 자산건전성이다. NPL비율과 연체율이 급격히 뛰면서 이에 대해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를 들여다보겠다는 것이다. 대상 저축은행 역시 NPL비율과 연체율이 두 자리수 이상을 지속한 곳 중에서 선정됐다. 금감원은 이같은 기준을 가지고 향후 추가로 10여곳에 대해서도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의 경우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중심으로 한 자본적정성을 경영실태평가 실시의 주된 잣대로 삼아왔다. 자산 규모 1조원 이상은 8%, 1조원 미만은 7% 밑으로 떨어질시 경영실태평가 대상이 된다.
올해 1분기까지 개별 저축은행 중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곳은 한 곳도 없다. 금융당국의 기준 강화로 인해 지난해부터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쌓아왔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기준 저축은행업계의 평균 BIS 자기자본비율은 14.40%에 이른다. 유동성비율 역시 192.0%로 규제 기준인 100%를 크게 웃돌고 있다.
문제는 BIS와 별개로 NPL과 연체 채권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BIS가 규정비율을 상회한 것과 보유자산의 건전성은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수도권에 본점을 두고 있는 안국저축은행의 경우 1분기 기준 BIS 비율은 13.42%지만 NPL비율과 연체율은 각각 29.38%, 27.31%로 20%를 크게 웃돌고 있다. HB저축은행 역시 BIS비율은 13.22%로 양호 수준이지만 NPL비율은 19.66%, 연체율은 16.62%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만큼 이번 평가는 사실상 NPL을 얼마나 제대로 정리했는지 여부와 향후 정리 계획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PF 사업장 재평가 방안 등을 내놓은 만큼 NPL을 제대로 상·매각하는지 직접 살피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금융당국이 이전부터 경·공매 등을 통한 저축은행 NPL 정리를 강조했지만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였다는 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업계는 경영실태평가 결과로 인해 적기시정조치가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경영실태평가는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능력 △수익성 △유동성 등 5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1~5등급(우수·양호·보통·취약·위험)의 평가를 매긴다. 이 과정에서 자본적성성 또는 자산건전성 부문에서 4등급 이하의 평가를 받게 되면 적기시정조치(경영개선권고)를 하게 된다.
다만 금감원은 현재로는 적기시정조치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산건전성 등을 평가하는 구간 등급별로 따로 있다"면서도 "외부로 공개된 기준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경영실태평가가 지속되면서 뱅크런 등 심각한 유동성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 당장 부실 대상으로 지정되지 않더라도 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뱅크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대상 저축은행이 알려지면 (뱅크런이) 바로 발생할 수 있다"며 "예전과 달리 스마트뱅킹 등으로 손쉽게 출금이 가능한 만큼 순식간에 자금 이탈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