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이세정 기자] 내년 자동차 판매량이 완만한 회복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전기차의 경우 대내외적인 여러 요인이 맞물리면서 업황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법무법인 태평양이 24일 발간한 'BKL 2025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자동차 시장은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수요가 부진했다. 하지만 내년부터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만큼 차량 구매 여건이 개선되고 신차 출시 효과 등이 맞물릴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 판매량이 늘어나더라도 전기차 산업은 예외일 것으로 보인다. 향후 트럼프 행정부가 친환경 정책을 철회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환경 보호보다는 경제 성장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 청정 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원 축소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혜택을 축소를 시도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 다수를 차지했음에도 IRA 관련 혜택 축소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파악된다. 공화당 소속 의원들의 지역구에 할당된 IRA 지원금이 약 1610억달러(234억원)로 민주당 지역구의 약 420억달러(61조원)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다.
BKL은 "공화당이 상원에서 필리버스터를 넘기 위한 60석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인 만큼 IRA 혜택의 전면 철회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미국 시장에 기 투자했거나 이미 진행 중인 기업들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 등 IRA의 다른 혜택과 비교할 때, 세액 공제 폐지는 향후 전기차를 구매하는 미래 소비자에게 부과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실제로 트럼프 인수팀은 미국 자동차 노동자를 보호하고, 전통 자동차 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제공되는 최대 7500달러(1100만원)의 세액 공제를 폐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액 공제 폐지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전기차 시장에는 큰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현지 업체인 테슬라보다는 테슬라 경쟁 업체들의 더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대해 BKL은 "불확실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전기차와 2차 전지업체 간의 합종연횡이나 산업 재편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