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최지혜 기자] 금융당국이 제4인터넷전문은행(제4인뱅) 인가 기준과 관련해 지원 기업들이 각자의 성장계획에 부합하는 자본금 및 추가 자금조달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용평가모형과 관련해서는 해당 모형의 실현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보겠다고 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2일 금감원 대회의실에서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심사설명회를 개최하고 중점 심사사항 및 심사기준 등을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핀테크기업을 비롯해 IT업체, 금융회사 등 총 44곳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인가 관련 설명 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는 자본금과 신용평가모델과 관련한 질문들이 이어졌다. 자본금과 관련해서는 자본금 규모와 평가점수가 비례하는 지 등에 대한 질문이 던져졌다. 이에 대해 김지웅 금감원 은행총괄팀장은 "정량적 기준은 없다"며 "각자 모델의 성장계획에 부합하는 자본금과 추가조달 계획을 쌓아야 한다"고 답했다.
김 팀장은 "자본금은 계획자가 어떤 모형을 만들고 어떻게 자산을 증가시킬지 등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며 "연평균 성장계획을 비교해서 사업모델에 적합한 자본금을 준비하는 게 맞다"고 부연했다.
신용평가 모형과 관련해서는 평가시 어느 수준까지 구현해야 할지에 대한 질문도 제기됐다. 김 팀장은 "실제데이터를 활용해 예측값이 나오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예비인가 단계에서는 데이터수집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신용평가모형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지, 어떤 데이터를 활용해 모델을 구축할 것인지 평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력한 인가 후보로 꼽히는 더존비즈온 역시 신용평가모형 심사와 관련한 질문을 던졌다. 더존비즈온 관계자는 "혁신적 신용평가모형 개발에는 검증에 상당 시일에 소요된다"며 미완성된 신용평가모형을 평가시 어떤 방식으로 검증이 진행되는지를 질문했다. 이와 함께 다른 핀테크기업과의 제휴가 필요한지 여부도 질의했다.
김 팀장은 "예비인가 단계에서는 신청자의 계획이 가능한지를 중심으로 평가한다"며 "실제 완성된 신용평가모형에 대한 판단은 본인가 단계에서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핀테크 제휴는 반드시 하라는 것은 아니다"며 "다만 다른 IT기업과 제휴시 법에 저촉되는 부분이 없는지 제도적 지원을 고민해서 예비인가를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포용금융 대상에 대해서는 "금융당국이 구체적인 고객군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역 기업은 비수도권, 서민금융은 중금리대출공급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외에 대면영업 가능 여부, 신용평가모형에 AI(인공지능) 활용 가능 여부에 대해서는 법위반 가능성 등을 고려해 관련 내용을 더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금융당국은 희망사업자의 의견 수렴을 통해 오는 19일 구체적인 예비인가 신청서 접수 일정을 공표할 예정이다. 이어 내년 1분기 중 예비인가 신청서 접수를 받고 2개월 내에 심사결과를 발표해 제4인뱅 선정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