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이다은 기자] 카카오가 조직 개편을 진행했다. 카카오톡 기반의 각종 사업 영역을 CPO(최고제품책임자)조직에 통합하고 기술 및 서비스 영역으로 나뉘어 있던 인공지능(AI) 조직을 단일화한 것이 골자다.
카카오는 핵심 사업별 역량 결집을 위해 이 같은 조직 개편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카카오는 CPO 조직을 신설해 카카오톡과 연계된 ▲기술 ▲광고 ▲커머스 ▲디자인 등 핵심 사업 역량을 한데 모았다. 카카오톡과 다양한 서비스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사용자 중심의 혁신에 속도를 더하기 위한 목적이다. 카카오는 이 같은 조직 개편을 기반으로 카카오톡의 비즈니스 성장을 본격 추진하겠단 방침이다. 카카오 관계자에 따르면 조직 개편에 따른 인원 조정은 없으며 특별한 이름도 정해진 바는 없다.
해당 조직의 수장은 홍민택 CPO가 맡았다. 홍 CPO는 카이스트(KAIST) 산업공학 학사∙석사를 졸업하고 인시아드(INSEAD)에서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 토스뱅크 초대 대표를 역임한 이력이 있다. 카카오 측은 "홍 CPO는 토스뱅크에서 신규 시장 개척과 비즈니스 구조 혁신을 통해 흑자 전환, 1000만 고객 달성 등의 성과를 달성한 서비스 전문가"라며 "홍 CPO는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카카오톡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카카오는 AI 서비스와 개발을 각각 담당해 온 '카나나엑스'와 '카나나알파'를 단일 조직인 '카나나'로 통합했다. 영역 간 유기적 협업을 통해 서비스를 빠르게 선보임으로써 AI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다. 카나나 조직은 기존에 카나나알파를 이끌었던 김병학 성과리더와 카카오의 핵심 서비스 개발을 주도해온 김종한 성과리더가 공동으로 맡는다.
한편 카카오는 AI 스튜디오를 신설해 AI 신규 사업 기회 및 AI 서비스의 기술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오픈AI를 포함한 파트너들과의 시너지 강화를 노리고 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작년 한 해 카카오는 내실과 본질 강화를 위해 기술 부채 해결과 사업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다"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카카오톡과 AI라는 두 핵심 사업 중심의 비즈니스 성장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