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최광석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단기적으로 기존 확보한 재고를 통해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현지 생산시설 확보 등을 검토하며 장기적인 리스크 대응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셀트리온은 19일 주주안내문을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반도체와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가 최소 25%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 대해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다. 관세는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셀트리온은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상황별로 최적의 대응체계를 이미 구축했다는 입장이다. 먼저 1월 말 기준 약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하며 의약품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미국 판매분에 대해선 그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강조했다.
또 관세 리스크 발생 이전부터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해 오고 있으며 이들 기업과의 협의를 통해 추가 생산 가능 물량도 이미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올 상반기 내 의료의약품(DS) 수출 집중 및 현지 생산시설 확보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회사는 이미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 부담이 크게 낮은 원료의약품 수출에 집중하고 있으며 충분한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CMO 업체들과 제품 생산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의약품 관세 부과 추이에 따라 필요 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확대하는 전략으로 상황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2026년 이후에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들을 이미 갖췄다"며 "작년부터 구체적 검토를 진행해 온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도 올 상반기 중 투자 결정을 마무리해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보호무역 리스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