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민기, 최유라, 송한석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18,000입방미터(㎥)급 LNG 벙커링선 4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총 5383억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 벙커링선 4척은 길이 143m, 너비 25.2m, 높이 12.9m 규모다. 울산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해 2028년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LNG 벙커링선은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으로 해상에서 LNG를 충전해 주는 선박이다. STS는 기존 항만에 LNG 공급·저장 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대량 충전도 가능해 LNG 충전 방식 중 가장 선호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9월 18,000㎥급과 12,500㎥급 LNG 벙커링선을 각각 2척과 1척 수주한 데 이어, 같은 해 11월 18,000㎥급 LNG 벙커링선 4척을 수주하며 관련 시장의 지배력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운영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 단지인 제주 한림해상풍력 단지의 재생에너지 입찰 서비스 운영사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자 선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를 통해 운영되는 국내 모든 해상풍력 단지의 운영을 맡게 됐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제주도 내 첫 해상풍력 단지인 탐라해상풍력의 전력 중개 사업자로서 안정적인 입찰 관리 및 운영을 통해 기술리더십을 인정받은 바 있다. 한림해상풍력 단지는 국내 최대 규모인 100MW급 해상풍력 단지로 서울 여의도 면적(2.9㎢)의 두 배에 달하는 해상 면적 5.5㎢에 5.56MW 풍력 터빈 18기를 운영한다. 연평균 23만4913MWh의 신재생 청정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한림해상풍력 단지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하루 전 및 실시간으로 재생에너지 입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후 한국전력거래소의 입찰 제도에 참여해 전력 거래가 이뤄져 재생에너지가 최종적으로 전국의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제주도를 시작으로 재생에너지도 화력발전소처럼 입찰 제도를 도입해 급전자원화해 운영하고 있다.
◆에쓰오일 사진동호회, 14년째 재능기부 봉사활동으로 감동 전해

에쓰오일 사진동호회는 2011년 8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매월 스튜디오 사진촬영과 환아가족 캠프 동행 봉사활동을 통해 200여 환아 가족에게 뜻깊은 선물을 제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국 각지에 살고 있는 환아 가족과 사진촬영 날짜, 장소, 촬영 컨셉트를 논의하고, 가족과 가장 가까운 스튜디오를 물색해서 가족별 맞춤형 촬영을 진행했다. 또한 이들은 매년 담도폐쇄증 환우회에서 주최하는 캠프에도 참석해서 환아 가족들이 아름다운 추억을 남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4월에는 에쓰오일 후원으로 담도폐쇄증 및 화상 어린이 가족 60여 명을 초청한 제주도 '햇살나눔캠프' 3일 간 행사활동 전 과정을 촬영해 참석한 가족들에게 뜻깊은 선물을 전달했다. 이 활동은 오랜 투병생활로 여행을 가지 못한 환아 가정에 여행 동반자이자 촬영작가 역할을 수행하여, 가족들에게 특별한 경험과 감동을 선사했다.
◆인듐·비스무트·텔루륨 수출통제 제한적…국내 유일생산 고려아연 안정적 공급

고려아연은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정적으로 생산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미·중을 비롯해 각국의 '관세 전쟁'과 보복이 이어지면서 전세계 경제와 글로벌 공급망이 혼란에 직면한 것과 맞닿아 있다. 지난 4일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 몰리브덴,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 5개 전략광물 품목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단행했다. 법정시한 45일의 수출허가 절차가 추가되면서 국내외에서는 핵심광물의 수급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고려아연이 국내 생산을 하고 있어 산업통상자원부는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은 국내 생산을 통해 대응이 가능해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고려아연은 연간 150톤가량의 인듐을 세계 시장에 공급해 왔는데 미국으로도 상당량을 수출하면서 글로벌 첨단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차량 변속기 부품, 고온 초전도체 소재 등에 활용되는 비스무트 역시 고려아연이 연간 900~1000톤 규모로 국내외에 판매해 왔다. 여기에 태양전지, 열전소재, 축전기, 자동차 부품 등을 제조하는데 쓰이는 텔루륨의 경우에도 고려아연이 연간 100~200톤 생산해 왔다. 이번 통제조치와 맞물려 중국산을 점차 대체하면서 글로벌 각국의 러브콜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