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최보람 기자] 리오프닝을 맞은 에어부산의 고민거리로 기발행한 영구전환사채(영구채)가 꼽히고 있다. 시기마다 금리가 오르는 스텝업 조항, 기준금리 상승, 자본금 저하 우려 등의 요인으로 영구채 유지나 차환·상환에 적잖은 부담이 예상되면서다.
에어부산이 팬데믹 기간인 2020년부터 작년까지 찍어낸 영구채 규모는 총 1200억원이다. 시기별로는 ▲2020년 6월 500억원(2회) ▲2021년 3월 300억원(3회) ▲2021년 6월 300억원(4회) ▲2022년 7월 100억원(5회)으로 구성돼 있다. 투자자는 2~4회까지는 모회사인 아시아나항공이었으며 5회는 타이거·에이피·지브이에이 등 자산운용사다.
시장의 관심사는 에어부산이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조달한 1100억원어치 영구채를 어떤 방식으로 해소할지에 쏠려 있다. 사채별로 중도상환(콜옵션) 가능일이 충족됐거나 도래하는 가운데 금리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만큼 차환이나 상환을 통해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먼저 에어부산의 2~4회 영구채는 만기일이 2050년 6월부터 2051년 6월까지로 길지만 약정 상 발행 후 24개월 이후부터 상환 및 차환이 가능하다. 2020년 6월, 2021년 3월에 발행한 영구채는 이미 상환할 수 있는 상황이고 2021년 6월에 찍은 사채 또한 오는 6월 24일 이후부터 갚을 권리가 생긴다.
이들 사채는 발행 당시 표면 금리만 7.2%에 달한 데다 스텝업 조항이 걸려 있어 이자부담이 갈수록 커진다는 특징도 가진다. 2회차 영구채의 경우만 봐도 스텝업에 따라 금리가 12.4%까지 오른 터라 상환 필요성이 더 커진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에어부산은 사정이 되는대로 영구채를 해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영업현황 및 추세를 고려해 영구채에 대한 차환 또는 상환을 검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에어부산이 작년 말부터 영업력을 회복한 만큼 올 들어 영구채를 해소할 체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최근의 조달금리 상승과 자본력 약화 상황을 고려할 때 에어부산이 차환이나 상환 중 어떤 결정을 하더라도 부담을 피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우선 에어부산은 2~4회차 영구채를 상환하고 추가 자금조달을 하지 않을 경우 국토교통부로부터 운항정지 제재조치(2년 연속 자본잠식률 50% 이상)를 받을 수 있다.
자본잠식이란 지속된 손실 등으로 인해 자본총계가 납입 자본금보다 적어지는 것을 말한다. 작년 말 기준으로 에어부산의 자본 및 자본총계는 각각 1166억원, 1267억원으로 적정수준의 자본총계를 유지 중이다. 하지만 자본으로 인정되는 영구채 가운데 상환가능 시점이 도래하는 한 건만 상환하더라도 곧바로 자본잠식에 빠질 수 있다.
차환 시에는 높아진 조달금리가 부담 요소로 꼽힌다. 에어부산이 처음 영구채를 발행할 당시 0.5%에 불과했던 기준금리가 현재는 3.5%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은 에어부산이 아시아나항공을 상대로 발행했던 영구채 금리가 7.2%로 높았기 때문에 차환 시 적용될 금리는 이보다 다소 낮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다. 실제 에어부산이 가장 최근에 발행한 100억원 규모의 영구채는 최초 금리가 5.9%로 책정된 바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