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산업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KB금융지주4
KCC건설, 심광주 대표 구원투수 역할 톡톡
박안나 기자
2025.02.18 10:20:25
관급수주 집중·원가율 관리, 영업익 256%↑…40년 KCC맨 노련미 돋보여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5시 46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CC건설_스위첸_1.png

[딜사이트 박안나 기자] KCC건설이 건설경제 침체 속에서도 지난해에 수익성 개선 등 성과를 냈다. 침체된 시장상황을 극복하고 빚어낸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이 간다.


KCC건설은 지난해 초 영업환경 악화를 극복하고 실적 반등을 이끌 '구원투수'로 심광주 대표이사를 낙점했었다. 심 대표는 KCC건설에서 40년 가까이 재직한 뒤 2022년 용퇴했었는데, 1년여 만에 대표이사로 복귀해 구원투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KCC건설은 2024년에 영업이익 646억원, 순이익 104억원을 올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영업이익 증가 폭은 무려 255.97%에 달한다. 순이익은 54.21%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은 2017년 719억원 이후 최대실적에 해당한다. 2023년 0.95%로 쪼그라들었던 영업이익률도 1년 만에 3.54%로 급상승했다.


2022년부터 건설업계는 자재비 및 인건비 고공행진과 더불어 금리 급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에 신음하고 있다. KCC건설 역시 영업환경 악화를 피하지 못하고 2022년부터 실적 부진을 이어왔다.

관련기사 more
KCC건설, 강남 사옥부지 재평가…재무건전성 개선 기대 KCC건설 시공 수서역세권 업무시설 개발 본격화 KCC건설, 공공공사 확대…미수금 리스크 낮추기 한신평, KCC건설 등급전망 '부정적'…미분양 부담

KCC건설은 2021년에 319억원의 영업이익을 벌어들였고 2.34%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지만, 2022년에는 11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2023년에는 매출 1조9000억원에 영업이익 181억원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흑자 전환에는 성공했지만 1% 미만의 영업이익률을 보이며 온전히 이익체력을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계속되는 실적 부진에 KCC건설은 대표이사 교체 카드를 꺼내들었고, 2022년 말 회사를 떠났던 심광주 전 부사장을 다시 불러들여 대표로 선임했다. 심 대표는 부사장으로 재직하다 회사를 떠난지 1년여 만에 대표이사 사장으로 복귀하게 됐다.


심 대표는 2022년 12월 물러나기 전까지 무려 39년간 KCC건설에 재직했었다. 1984년부터 KCC건설의 모태인 KCC(금강)에 몸담았던 인물이다. 1989년 금강의 건설부문이 금강종합건설(KCC건설)로 분할된 이후에도 쭉 KCC건설에서 일했다.


2008년 말 이사대우로 승진해 입사 25년만에 임원 대열에 합류했으며 ▲2010년 이사 ▲2011년 상무 ▲2015년 전무 ▲2019년 부사장 등으로 승진 가도를 달렸다. KCC건설에서 건축총괄, 기술본부장, 건축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KCC건설은 심 대표가 건축본부장 등을 역임했던 이력을 근거로 기술적 전문성과 경영능력을 갖춘 인물이라고 봤다. 40년 가까이 KCC건설에 재직했던 만큼 건설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기술적 발전뿐만 아니라 효율적 경영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평가했다.


심 대표가 수장에 오른 뒤 KCC건설은 공공 공사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공사대금 회수가 지연될 수 있는 민간공사 대신 수익성은 높지 않지만 안정적으로 대금을 받을 수 있는 공공 공사 비중을 키워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이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KCC건설의 신규수주 규모는 모두 5994억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관급공사 비중은 무려 83.9%였다. 연간 신규수주 가운데 관급공사의 비중이 ▲2021년에 8.8% ▲2022년 9.4% ▲2023년 42.4%였던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증가했다. 


관급공사의 경우 민간공사와 달리 인허가 관련 불확실성이 매우 낮다. 수익성은 민간공사 대비 낮지만, 불확실성이 낮은 만큼 매출 인식과 더불어 이익체력 개선에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심 대표 체제에서 공공공사에 집중한 덕분에 KCC건설이 영업이익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었던 셈이다. 


KCC건설은 97%까지 치솟았던 원가율을 하향안정화시키며 수익성 개선 성과를 냈다. 자재비 및 인건비 등 상승 여파에 KCC건설의 원가율은 2021년 92.8%에서  2022년 97.1%로 급격히 상승했다. 원가율이 97%를 넘긴 2022년에는 11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내기도 했다. 2023년에는 원가율을 95.6%로 소폭 낮췄고, 지난해에는 3분기 누적 기준 90.4%까지 낮아졌다. 


KCC건설은 "건축부문에서 원가율을 개선한 덕분에 2024년 연간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KCC건설 실적 추이 (그래픽=딜사이트 신규섭 기자)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사이트S 성공 투자
lock_clock곧 무료로 풀릴 기사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딜사이트 회원전용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Show moreexpand_more
벤처캐피탈 포럼 온라인 영상
Infographic News
업종별 회사채 발행현황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