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금융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LG유플러스
금융복합기업 자본적정성 비율 9.4%p↓
최지혜 기자
2024.11.07 08:32:44
7일 금감원 7개 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조사
서울 여의도 소재 금융감독원 전경. (제공=금융감독원)

[딜사이트 최지혜 기자] 올해 상반기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삼성, 한화, 교보, 미래에셋, 현대차, DB, 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84.3%로 전년말 대비 9.4%p 하락했다고 7일 밝혔다. 자본적정성 비율은 금융복합기업집단 전체의 자기자본을 모두 더한 값을 규제상 요구되는 필요자본의 합계액으로 나눈 수치다.


통합자기자본은 178조5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조8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계열사 조정준비금 증가, 해외계열사의 실적 호조 등에 따른 이익잉여금 증가 등의 영향이다. 


통합필요자본은 96조9000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6조2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계열사 주식위험 등 시장위험액 증가, 해외계열사 자산규모 증가에 따른 필요자본 증가 등에 주로 기인했다. 필요자본은 업권별 건전성 규제에서 요구하는 자본과 금융당국이 기업집단 차원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별도로 요구하는 자본으로 구성된다.

관련기사 more
KCGI, 늦어지는 대주주 적격성 심사…올해 넘기나 금감원, 고려아연 유상증자 정정신고 요구 자본적정성 제고 효과 '내부등급법' 언제? 금감원, 증권사 랩·신탁 2차 제재심도 결론 못냈다

금융복합기업집단별 자본적정성 비율은 DB(216.2%), 다우키움(206.0%), 삼성(200.9%), 교보(194.1%), 미래에셋(164.7%), 한화(154.5%), 현대차(151.8%) 등의 순으로 높았다. 미래에셋은 전년말 대비 9.4%포인트(p) 상승한 반면, 교보(△44.8%p), 한화(△17.7%p), 삼성(△9.6%p), 현대차(△2.8%p), 다우키움(△2.7%p), DB(△2.5%p)는 하락세를 보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모두 규제비율인 100%를 상회하고, 손실흡수능력도 양호한 수준"이라며 "다만 국제정세 변화 등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전이·집중위험 등 그룹 잠재리스크에 대한 내부통제와 위험관리 강화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농업정책보험금융
lock_clock곧 무료로 풀릴 기사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딜사이트 회원전용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Show moreexpand_more
딜사이트 무료 회원제 서비스 개시
Infographic News
업종별 메자닌 현황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