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최유라 기자] 정부가 고려아연의 이차전지 전구체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했다. 기술적, 경제적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 받은 것이다. MBK파트너스·영풍과 경영권 분쟁 중인 고려아연 입장에선 설령 두 기업에 인수 되더라도 중국 등 해외 재매각을 막을 정부의 방패가 생긴 셈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고려아연과 자회사 켐코가 함께 개발한 '니켈 함량 80% 초과 양극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공정 기술'에 대해 국가핵심기술 및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했다.
이번 결정으로 정부 승인 없이는 고려아연을 해외에 매각할 수 없게 됐다. '산업기술의 유출 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산업기술보호법)'에 따르면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이 국가핵심기술을 외국 기업 등에 매각 또는 이전 등의 방법으로 수출할 때, 또한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이 해외 인수합병과 합작투자 등 외국인 투자를 진행할 때는 미리 산업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산업부 장관은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뒤 산업기술보호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이에 따라 고려아연과 MBK파트너스·영풍간 경영권 분쟁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일단 최근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모두 국내 기업에 매각된 점을 고려하면 고려아연도 해외 매각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 대형 전선 회사인 A사는 2019년 보유하고 있는 '500kV급 이상 전력 케이블 시스템 설계·제조 기술'이 국가핵심기술에 선정되면서 당시 추진하던 해외 매각이 막혀 2년 뒤 국내 기업에 인수됐다. 더불어 국내 대형 공작기계 B사도 보유하고 있는 '고정밀 5축 머시닝센터의 설계·제조 기술'로 인해 중국과 일본 기업 등에 인수를 타진했으나 최종적으로 국내 기업에 인수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아연 측은 MBK파트너스·영풍이 자사를 인수할 경우 향후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당사가 보유한 국가핵심기술은 이차전지 소재 산업뿐 아니라 전방 산업인 전기차 산업에서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꼭 필요하다는 점에서 해외 매각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20조원이 넘는 고려아연의 시가총액과 대규모 인수 자금 때문에 MBK와 영풍의 투자금 회수 작업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며 "투자금 회수 작업이 지지부진해지면 그 사이 고려아연의 기업 가치는 크게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MBK파트너스·영풍은 국가핵심기술 선정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양사 관계자는 "국가핵심기술 및 첨단전략기술로의 지정은 고려아연의 전구체 기술이 국가 경제 성장의 원천 중 하나로 입증됐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고 있다"며 "최대주주로서 고려아연의 핵심기술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