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산업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KB금융지주4
"사모펀드는 재벌 아냐"…몰이해에 피멍드는 PE업계
김규희 기자
2025.03.31 09:18:11
"비판하더라도 제대로 알고…", 국내 PE들 우려 '한목소리'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5일 10시 52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사이트 김규희 기자] 홈플러스에 대한 법원의 기업회생절차가 개시된 가운데 최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가 긴급현안질의에 나서는 등 노동계뿐 아니라 정치권까지 MBK를 겨냥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를 두고 PE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경영 실패에 대한 비판은 대주주로서 얼마든지 감내해야 할 지점이지만 '부채탕감을 노리고 악의적으로 회생을 신청했다', '비정상적인 꼼수를 부렸다', '펀드 운용보수로만 1조원의 수익을 남겼다'는 등 사실과 다른 주장이 나오면서다. 특히 PE업계 구조상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업계 전반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제공=뉴스1)

◆ MBK는 대기업 지주사, 홈플러스는 계열사?


홈플러스는 지난 4일 오전 0시 3분경 온라인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3‧1절 연휴가 끝난 직후 이뤄진 조치다. 회생 신청을 받은 법원은 이례적으로 빠른 결정을 내렸다. 일반적으로 수일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홈플러스에 대해서는 신청 11시간 만에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하고 정상영업을 위한 포괄허가 결정도 함께 승인했다.


홈플러스 회생절차가 결정되자 최대주주인 MBK를 향한 여론이 들끓기 시작했다. 홈플러스를 살리기 위한 아무런 자구 노력 없이 채무탕감을 위해 비상식적으로 행동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일각에서는 MBK 창업주인 김병주 회장이 사재를 털어서라도 홈플러스를 살려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관련기사 more
"규제 가로막힌 한국PE 시장, 일본에 뒤집혀" "PE 죽이기 웬말…IMF때 수십조 뺏긴 악몽 잊었나" 홈플 회생 신청…"암환자 병원 일찍왔다 나무라는 꼴" 관리보수 1조는 억측…"실제 140억, 지나친 오해"

이에 MBK는 홈플러스 대주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로 김 회장의 사재 출연 소식을 알렸다. PE업계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하는 결정이었다. 김 회장이 사재를 턴 건 MBK가 홈플러스를 버리려는 게 아니라 정상화하려 한다는 의도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비판 여론 수위는 줄어들지 않았다. 사재 출연의 규모, 시기, 방식 등 구체화된 내용이 없다며 김 회장을 향해 수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을 토해낼 것을 요구했다.


PE업계는 이같은 요구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먼저 비판의 타깃이 잘못 설정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PE업계와 펀드, 투자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마녀사냥'식 주장이 나온다는 것이다.


투자 실패가 있었다면 비판의 대상이 돼야 하는 건 투자의 주체다. 홈플러스에 자금을 투입한 건 'MBK 3호 블라인드펀드'다. 3호 블라인드펀드는 인수금액 7조2000억원 중 자사의 자금 3조2000억원을 홈플러스 인수에 사용하고 나머지 자금을 인수금융 등으로 조달했다. 홈플러스 인수를 결정하고 자금구조를 짜는 등 주요 결정을 내린 건 MBK 펀드이지 김 회장 개인이 아니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PE업계는 오해의 기저에는 '재벌 경영' 체제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 국민들 대부분이 국내 대기업의 재벌 경영에 익숙해져 있어 사모펀드 투자를 이와 똑같이 바라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MBK는 대기업 '지주사', 포트폴리오 기업은 지주사 아래에 있는 '계열사'로 여긴다는 얘기다. 대중은 기업의 경영 실패 사례가 나오면 대기업 오너가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에게 머리를 숙이는 그림이 눈에 익어 있으니 김 회장이 나와 공개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는 오해에서 비롯된 주장이다. PE 대표는 대기업 오너가 아니다. PE 대표는 투자심의위원회 일원으로 투자를 위한 결정에 관여할 수 있을 뿐 재벌 오너와 같은 무소불위의 권한이 없다.


PE 또한 지주사가 아니다. 그러니 지주사처럼 그룹 콘트롤타워가 돼 계열사 경영에 '감 놔라 배 놔라' 할 수 없다. 포트폴리오사 역시 계열사가 아니다. 대기업 계열사는 지주사의 관리를 받지만 PE와 포트폴리오사는 철저히 구분돼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PE는 피투자사의 이사회 일원으로 참여한다. 다른 이사들과 마찬가지로 경영진으로부터 주요 사항을 보고 받고 결정사항에 대해 같이 논의하는 과정을 거친다"며 "한 사람이 해당기업을 좌지우지할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 규제 강화가 정답?…"국내 PE 고사, 빈자리 외국계 PE가 차지할 것"


투자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는 주체도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포트폴리오사가 무너졌을 때 투자를 결정한 PE가 비판의 대상이 되는 건 당연하지만 PE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주체는 PE에 자금을 댄 출자자(LP)들이다.


또 다른 IB업계 관계자는 "PE는 투자운용사다. LP로부터 자금을 받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사업을 한다"며 "피투자사가 파산하거나 무너졌을 때 손실을 입은 건 LP들이다. LP로부터 평가를 받고 비판을 받는 건 너무나 당연하지만 이번 홈플러스 사태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는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PE업계의 고심을 키우고 있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대규모 인수금융을 일으키는 차입매수(LBO) 방식을 썼던 만큼 PE에 대한 금융 규제의 벽을 높여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실제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지난 18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LBO와 관련해 제도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검토하겠다"고 말하는 등 규제 강화 움직임이 현실화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국내 PE들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지 않는 기이한 규제가 등장할 경우 국내 PE 시장을 고사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과도한 금융 규제가 국내 PE들의 투자심리를 위축시켜 투자 생태계를 망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한 PE사 대표는 "자본시장이 발달한 미국, 영국 등에서는 국내보다 훨씬 다양한 금융상품이 있다"며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르기 마련이다. 한 펀드에 속해있는 포트폴리오만 5~10개가 되는데 그중 하나가 실패했다고 규제를 남발하면 국내 PE들은 멸종하게 되고 그 빈 자리를 자금력이 뛰어난 외국계 PE들이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한국투자증권
lock_clock곧 무료로 풀릴 기사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re
딜사이트 회원전용
help 딜사이트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트입니다. 무료 회원 가입 후 바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Show moreexpand_more
딜사이트 WM 포럼
Infographic News
유상증자 대표주관 순위 추이 (월 누적)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