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최광석 기자] SK바이오팜이 미국의 의약품 관세 인상 가능성에 대비해 현지 생산시설을 확보했으며 추가적인 확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충분한 의약품 재고 확보로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SK바이오팜은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급변하는 정책 환경과 공급망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국내에서 원료의약품(API)을 제조한 후 캐나다에서 벌크 태블릿(정제) 및 패키징(포장) 단계를 거쳐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회사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캐나다 외 추가적인 미국 내 생산전략을 수년 전부터 추진해 왔다. 신약 생산 변경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회사는 이를 사전에 준비해 생산 기술 이전 및 공정 검증, FDA 허가 신청을 완료하고 2024년 하반기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
더불어 회사는 미국 내에 약 6개월분의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고 있어 관세 변화 대응에 소요되는 기간 동안 이 물량을 활용할 계획이다.
나아가 이미 확보한 미국 및 캐나다의 위탁생산(CMO) 업체 외에 추가적인 생산 옵션 확보를 검토 중이며 장기적으로 전세계 세노바메이트 파트너사들과의 생산 관련 협력의 기회도 열어 놓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위탁생산(CMO)업체를 통한 외주 생산방식을 유지하고 있어 직접 생산 대비 탄력적이고 빠른 대응에 유리하다"며 "이미 전체 비용의 70% 이상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구조 또한 국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관세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조치를 가능하게 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