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김주연 기자]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불발된 것에 대해 "투자자들과의 관계, 사법리스크 등 여러 장애물로 신중한 고민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회장에 대한 등기이사 복귀를 통한 책임 경영을 조언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18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리는 준감위 정기회의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 회장이 삼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전해들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사외이사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분들로 구성됐는데 (이 회장이) 자주 소통하며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으면 한다"며 "또 내부에서 이 회장이 전면에 나서 지휘하길 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등기이사 복귀를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지속적으로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촉구해 왔다.
앞서 이날 오전에 열린 삼성전자 이사회에서는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안건이 상정되지 않아 결국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가 불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업계에서는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 합병 의혹' 재판의 항고심 무죄 선고 이후 이 회장이 복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검찰이 이 회장에 대한 대법원 상고를 결정하며 사실상 이 회장의 복귀가 무산됐다는 의견이다.
이 위원장은 검찰의 대법원 상고 결정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용기있는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며 "조만간 신속하고 현명한 판결로 경제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그룹 컨트롤 타워 재건 논의와 관련해 "개인적으로는 필요하다고 생각되나 준감위 내부에서도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할 정도로 여러 관점에서 평가되고 있다"며 컨트롤 타워가 어떤 방식으로 꾸려질지는 회사에서 신중히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근 불거지는 '삼성전자 위기론'을 언급하며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총의가 내외로 모아지는 만큼 잘 극복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할 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과는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 위원장은 "항고심 전후로 이 회장과 따로 만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서로 잘 소통하며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고 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