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금리, 트럼프 '관세 서한' 경계감에 상승…3년물 2.482%[연합뉴스]
7일 국고채 금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서한' 불확실성에 주목하며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1.5bp(1bp=0.01%포인트) 오른 연 2.482%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2.840%로 1.2bp 상승했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1.7bp, 0.7bp 상승해 연 2.637%, 연 2.453%에 마감했다. 20년물은 연 2.845%로 2.0bp 올랐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2.2bp, 2.1bp 상승해 연 2.749%, 연 2.647%를 기록했다.
슬금슬금 풀리는 은행 대출 빗장…비대면 주담대 재개도 초읽기[디지털타임스]
은행들이 '6·29 가계부채 대책'이후 꽁꽁 잠가둔 대출 빗장을 조금씩 풀고 있다. 비대면 대출을 대부분 막았던 은행들은 신용대출부터 비대면 재개하고 있다.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재개 시기는 이르면 이번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번주 중 비대면 주담대 상품을 다시 판매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비대면 신용·전세대출만 팔고 있다.
"의도적 상장폐지 의심" 대통령실 탄원 낸 한화 우선주 소액주주들[한국경제]
한화그룹의 지주사인 한화의 1우선주 소수주주 연대가 한화그룹이 상장폐지를 통해 소액주주를 배제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이를 막아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대통령실에 냈다고 7일 밝혔다. 한화 1우선주 소수주주의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온라인 서비스) '액트'에 따르면 소수주주 연대는 이 탄원서에서 한화 측이 상장 유지 요건인 20만주에 단 967주가 부족하게 자사주를 소각해, 고의로 상장폐지를 하고 소수주주를 회사에서 쫓아내려는 의도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통신3사 담합 과징금, 963억원으로 줄어…법적 다툼 불가피[서울경제]
공정거래위원회가 번호이동 가입 실적 등을 담합한 이동통신 3사에 대해 기존 과징금보다 다소 줄어든 과징금 963억원을 부과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하지만 통신업계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행정지도를 따랐을 뿐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법적 다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달 말 SKT,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에 과징금 963억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담긴 최종 의결서를 발송했다. 업체별 과징금은 SKT는 388억원, KT 299억원, LG유플러스 276억원으로 알려졌다. 의결서는 법원의 판결문 격으로 공정위가 피심인에 대해 내리는 시정명령과 과징금 부과액 등이 담긴다.
SKT, 해킹 사고 후폭풍 당분간 계속…수천억 과징금도 변수[뉴스1]
SK텔레콤이 해킹 사고 관련해 위약금 면제를 비롯한 대규모 고객 보상안과 정보보호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후폭풍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단기적인 실적 타격을 감수하면서도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에 두고 대응 중이지만 추가 고객 이탈, 추후 부과될 수 있는 과징금 등은 리스크로 남아 있다. 7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SK텔레콤에서 KT,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가입자는 총 1만 660명으로 전날 대비 1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KT로 이동한 고객은 5083명, LG유플러스로 이동한 고객은 557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의 가입자는 3865명 순감했다.
"中 굴기·美 관세 뚫자"…한·일 新협력시대[한국경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6월 19일 주일 한국대사관 주최로 도쿄에서 열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했다. 한국 시간으로 전날 캐나다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지 하루 만에 또다시 한국 행사를 찾은 것이다. 한·일 협력 의지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시바 총리는 축사에서 "두 나라 사이에 다양한 국면이 있었지만 항상 폭넓은 교류를 쌓아왔다"며 "올해는 다음 60년을 생각해볼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서로 식견을 공유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 협력해야 할 분야가 많다"고 덧붙였다.
하반기 '퍼펙트 스톰' 온다...10개 주력업종 수출전선 초비상[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LG전자·현대자동차 등 업종별 국내 주요 기업들이 올 하반기 '트럼프발' 실적 하강에 대응, 비상경영 체제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 영향권에 들었던 지난 2·4분기 이미, 가전, 자동차 등 주요 수출기업들의 영업이익이 일제히 두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한 상태다. 한미무역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하는 가운데, 8월 1일부터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3·4분기 '퍼펙트 스톰'(초대형 경제 타격)수준의 충격이 가해질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역차별 아닌가요?"…외국인만 웃었다[한국경제]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거래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가운데, 정부의 새로운 대출 규제로 내국인 매수는 얼어붙어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일 한경닷컴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통해 확인한 결과, 지난해 아파트·오피스텔 등 집합건물을 매수한 외국인은 1만3,615명으로 전년 대비 13.6% 증가했다. 올해 6월까지 누적 외국인 매수자도 6,500명을 넘었으며, 이 중 수도권 매수자는 4,773명에 달했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이 72%를 차지해 4,731명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선 외국인 매수자 증가 배경으로 정부의 초고강도 대출 규제를 꼽고 있다.
하림, 작년 탄소·유해물질·폐기물 배출량 모두 증가…ESG 경영은?[뉴시스]
하림이 지난해 온실가스·유해물질·폐기물 등의 환경오염 물질 유발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전년보다 많이 배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림 측은 지난해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오염물질 배출량도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매출 대비 배출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역시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하림이 발간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0만2616이산화탄소환산톤(tCO₂-eq)으로 전년(10만371tCO₂-eq) 대비 2.2% 증가했다. 매출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환산한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역시 지난해 7.39에서 8.32로 상승했다. 하림은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10만999tCO₂-eq까지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