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신라 톺아보기임대료 유예 끝난 인천공항…돌파구는

[딜사이트 이승주 기자] 신라면세점에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운영에 따른 변곡점이 찾아왔다. 지난 1년간 임대료 유예 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높은 임대료가 실적에 반영되는 탓이다. 임대료 측정 방식이 '여객당 임대료'로 변경됐음에도 외국인 객단가 하락으로 매출을 기대하긴 어려운 여건이다. 이에 신라면세점은 '유료멤버십'과 '인터넷면세점'을 타개책으로 내국인 고객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현재 심각한 실적 부진에 빠져 있다. 호텔신라 TR(면세)부문의 올해 1분기 매출은 8348억원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5억원으로 80.6% 급감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는 호텔신라 TR부문이 올해 2분기 실적을 전망하며 매출은 29% 증가하겠지만 영업이익은 73%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물론 이 같은 실적 부진은 신라면세점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내 면세업계는 엔데믹 이후에도 동반 침체에 빠져있다. 핵심 고객이었던 중국 단체 관광객은 줄어드는 식의 해외여행 트렌드 변화와 중국 보따리상(다이궁)의 발길이 끊긴 점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인천공항을 통과하는 여객 수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다. 올해 4월 기준 인천공항 여객 수는 556만명 수준으로 지난 2019년 대비 97%까지 회복됐다.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인천공항 DF1,3 구역의 면세점 운영 사업자로 낙찰됐고 같은해 7월 매장을 오픈했다. 여행객 증가에 따른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에 신라면세점도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수익성에 초점을 맞춘 경영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호텔신라 TR부문의 영업본부에서 해외사업부가 사라지고 인천공항점 조직이 신설됐다. 그만큼 신라면세점 입장에선 인천공항 면세점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었다.
하지만 현재 신라면세점은 인천공항 면세점 운영으로 '승자의 저주'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공항면세점의 수익성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임대료 부담은 크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면세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임대료 측정 방식을 기존 '고정 최소보장액(고정임대료)'에서 '여객당 임대료'으로 변경했다. 이는 여객 수에 임대사업자들이 써낸 투찰 금액을 곱해 임대료를 선정하는 것이다.
신라면세점은 DF1 구역 면세점 입찰 과정에서 객당임대료를 8987원으로 써냈다. 이는 최소 객당 임대료(5000원)에 비해 79.7%나 높은 수치다. 또한 같은 구역에 입찰한 중국 국영면세점그룹(CDFG)의 7388원, 롯데면세점의 6738원을 훌쩍 상회한다. 현재 인천공항의 여객 수 증가세를 미뤄볼 때, 신라면세점은 향후 매달 300억원이 넘는 임대료 지출이 불가피하다.
더 큰 문제는 수익성 지표가 되는 외국인 관광객의 객단가도 줄었다는 점이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국내 면세점을 찾은 외국인은 80만명이다. 전년 대비 81.6% 늘어난 수치다. 반면 매출은 9654억원에서 9950억원으로 3.1%만 증가했다. 이로 인해 외국인 객단가는 220만원에서 125만원으로 43.2% 줄어들었다.
현재 인천공항 면세점의 월 매출은 600억원 수준으로 알려져있다. 동시에 면세업계는 임대료 마지노선을 약 40%로 잡고 있다. 임대료 비중이 40%를 넘어가면 사실상 적자사업이나 마찬가지라는 의미다.
신라면세점의 경우에는 매출의 50%를 상회하는 금액을 임대료로 지출할 가능성이 크다. 이전까지 공항면세점이 적자를 기록하더라도 이에 상응하는 홍보 효과와 바잉파워(대량 구매를 통한 원가 절감)를 가져갈 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도 시내면세점 실적이 뒤를 받쳐줘야 가능하다는 게 면세업계의 공통된 설명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신라면세점은 내국인 관광객들을 끌어들일 전략을 고심하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 내국인 관광객들은 중국인 관광객 다음으로 비중이 높고 MZ세대를 중심으로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알짜 고객으로 통한다.
신라면세점의 타개책은 유료멤버십 도입과 인터넷면세점 확대 등이 꼽힌다. 먼저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12월 상시 가입이 가능한 유료멤버십 '신라 앤 베이직(SHILLA & BASIC)'을 선보이고 회원 모집을 시작했다. 면세업계가 이벤트성으로 한정판 멤버십을 출시해왔던 적은 있지만 정기 유료멤버십을 도입한 것은 신라면세점이 처음이다.
또한 신라면세점은 주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인터넷면세점의 주류 상품 구성과 혜택도 강화하고 있다. 실제 신라면세점은 업계 1위 롯데면세점에 비해 인터넷면세점 주류 부문이 약하다는 평가를 들어왔다. 이에 신라면세점은 지난달 국내 1위 온라인 주류 플랫폼 '데일리샷'에 전용스토어를 오픈하며 온라인 주류 판매 채널을 확대하기도 했다.
신라면세점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인천공항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고 면세업 불황에 따라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인천공항 임대료 방식 변경에 따른 득실을 얘기하기는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