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ST, CP 등급평가서 A등급 획득

[딜사이트 유범종, 최광석, 최령 기자] 동아에스티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하는 '2024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등급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CP는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 기업 자체적으로 제정해 운영하는 내부 준법 시스템 및 행동규범으로 준법의지 및 윤리의식을 향상시켜 법규 위반을 사전에 예방하고 공정거래자율준수 문화 확산 및 내재화를 추진하는 활동이다. CP 등급평가는 공정거래위원회가 CP를 도입한지 1년 이상 경과한 기업의 CP 운영실적을 평가해 매년 기업별 등급을 부여한다. 동아에스티는 매년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강화 프로그램 선포식을 개최하며 자율준수 실천의지를 대내외에 공표하고 있다. 또 임직원의 부패방지제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전 사업장 대상 자체 연 1회 팀 단위 정기 내부심사 진행 ▲부패방지 지침 및 실사에 필요한 방침을 제공하는 CP 전자 편람 및 홈페이지 운영 ▲그룹의 내부 고발시스템과 사업관계자의 Help-Line 고발시스템 운영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HLB제넥스, 신임 각자대표에 김도연 사장 선임

산업용 효소 전문기업 HLB제넥스(구 제노포커스)의 신임 각자대표에 김도연 전 HLB생명과학 사장이 선임됐다고 13일 밝혔다. 김도연 대표가 경영부문을 기존의 김의중 대표는 사업부문을 맡아 각자대표로 활동하게 된다. HLB제넥스는 12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HLB제넥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사내이사로 김도연 사장을 비롯한 진양곤 HLB그룹 회장·김송수 HLB바라바이오 대표· 심경재 HLB뉴로토브 대표를 사외이사로 김준형 전 머니투데이 전무·이상백 대아티아이 자문위원·고훈 중국 부창제약 고문을 선임했다. 김도연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삼일회계법인에서 회계감사와 조세, 기업금융업무를 미래에셋에서 기업의 재무 및 투자 컨설팅을 담당한 재무ᆞ금융 전문가다. 2016년 진단키트 전문기업인 '젠바디'에서 경영관리본부 부사장으로 일하며 헬스케어 분야에서 사업 경험을 쌓았다. 지난 2021년 HLB그룹에 합류해 재무 및 운영총괄(COO)을 역임했으며 올해 7월에는 HLB생명과학 사업관리 총괄 부사장에 임명돼 경영 전반에 대한 쇄신을 이끌어왔다. 최근 진행된 HLB그룹 연말 정기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했다.
◆Dx&Vx, 英 옥스포드 백메딕스 항암백신 'OVM-200' 도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영국 옥스포드 백메딕스(Oxford Vacmedix, OVM)와 항암 백신 'OVM-200'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양사는 올해 라이선스 계약과 관련된 주요 내용의 텀싯에 합의했다. 이번 라이선스 계약 체결로 영국 외 지역에서의 임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OVM-200의 한국·중국(홍콩·마카오·대만 포함)·인도에서의 연구개발 및 상업화 권한을 확보했다. OVM-200은 우리 몸속에 들어와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용 백신이다. 시간이 흘러 새로운 암세포가 생겨도 면역세포들이 기억해 암세포를 없애 준다. 동물시험에서는 암 예방 효과도 관찰돼 암 예방용 백신으로의 개발 가능성도 높다. 특히 OVM-200 항암 백신에 접목한 ROP(재조합 중복 펩타이드) 기술이 면역력을 높여 백신 효과를 증대시키고 대부분의 암종에서 발현되는 서바이빈(Survivin)을 타깃으로 하는 점 등이 차별화 요소로 꼽힌다. 현재 OVM-200은 영국에서 1a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1b상에서 현재까지 5명의 환자에 투여를 완료했다. 내년 상반기 영국 1b상의 중간 결과 발표가 예상된다.
◆대웅제약 항암제 후보 물질 'DWP216',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대웅제약 항암제 후보 물질 'DWP216'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대웅제약은 향후 2년간 비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며 TEAD1을 타깃으로 한 고효능 항암제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의 항암제 후보 물질 DWP216은 종양 억제 유전자 'NF2' 변이 암종을 타겟해 'TEAD'의 저해를 통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NF2 유전자가 세포 성장과 관련된 신호를 조절해 암 발생을 억제하지만 NF2에 변이가 생기면 TEAD가 암 관련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게 된다. DWP216은 이 과정 중 TEAD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발현을 차단한다. 다만 DWP216은 모든 유형의 TEAD를 억제하는 기존 억제제와 달리 TEAD1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신장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혁신적인 후보 물질로 평가받고 있다. DWP216은 NF2 변이로 발생하는 중피종과 뇌종양·기존 항암제의 효과가 제한적인 비소세포폐암 및 췌장암 등의 암종에서 중요한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엑셀세라퓨틱스-中 블루메이지, 면역세포 배지 공급 MOU

엑셀세라퓨틱스가 중국의 바이오 원료 및 코스메슈티컬 전문기업 '블루메이지 바이오테크놀로지(Bloomage BioTechnology)'와 T세포 배지(Media) 공급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 중 하나인 중국에서 엑셀세라퓨틱스의 '셀커(CellCor) T세포 배지'에 대한 판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블루메이지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세계 최대의 히알루론산(HA) 원료 공급업체이자 중국을 대표하는 코스메슈티컬 기업이다. 전 세계 히알루론산 원료 판매량의 약 44%(70개국 이상 공급), 중국 시장 내 약 70%의 점유율을 확보했을 정도로 이미 중국과 세계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기업이다. 한국시장에서도 히알루론산 수출로 연간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블루메이지 바이오테크놀로지는 2020년 상하이 증시에 상장했으며 지난해 매출은 약 1조3000억원 규모다. 블루메이지 바이오테크놀로지는 히알루론산에 이어 배지 산업을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자 2023년부터 중국 하이난에 공장을 설립하고 현지 생산 및 유통을 시작했다. 회사의 자체 연구개발(R&D) 인력이 800여명에 이를 정도로 바이오 사업 확장에 힘을 쏟고 있다.
◆엔젠바이오, 인도 4개 대형 병원 현장 검증

엔젠바이오가 인도 내 4개의 대형 병원에서 NGS 주요 진단 제품에 대한 현장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또 인도 시장 확장을 위해 'IAMG 2024 컨퍼런스'(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edical Genetics Conference)에도 참가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엔젠바이오는 인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 올 1분기 인도 사무소를 설립하고 Dr. Neha Roy를 사무소장으로 임명해 영업 활동에 집중했다. 그 성과로 현지 의료기기 대형 유통사인 아난드 헬스케어(Anand Healthcare)와 사업 협력을 체결했다. 양사는 Tata 병원을 포함한 인도 내 4개 대형 병원에서 엔젠바이오 주요 NGS 정밀 진단 제품에 대한 현장 검증(validation)을 진행하고 있다. 아난드 헬스케어는 인도 내 400개 이상의 실험실에 장비와 시약을 공급하는 유통사로 엔젠바이오 인도 사무소와 함께 인도 아마다바드에서 열린 'IAMG 2024 컨퍼런스'에 참가했다. 회사는 아난드 헬스케어가 보유한 풍부한 유통망과 엔젠바이오의 차별적 기술 기반의 제품이 결합되면 빠르게 시장을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제품 검증이 마무리되는 대로 본격적 판매가 가능해 내년 상반기에는 규모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휴젤, 대만 의료진 대상 'H.E.L.F. for Taiwan 2024' 진행

휴젤이 최근 대만 의료진을 대상으로 'H.E.L.F. for Taiwan 2024'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H.E.L.F.(Hugel Expert Leader's Forum)는 휴젤의 대표적인 글로벌 학술 포럼으로 지난 2013년부터 매년 진행돼왔다. 올해부터는 H.E.L.F의 다양한 하위 프로그램을 신설해 국내외 미용ᆞ성형 분야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학술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H.E.L.F for Taiwan' 행사는 대만 의료전문가 15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대만 현지 출시를 앞두고 있는 히알루론산(HA) 필러 '더채움(수출명 리볼렉스, Revolax)'을 기반으로 한 이론 강의 및 현장 시연(Live-demo)이 진행됐다. 또 휴젤은 행사에서 HA 필러와 톡신을 병행할 수 있는 최신 국내 시술 트렌드를 공유했다. 행사는 오전 오후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대한미용성형레이저학회 학술 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이종진 데이뷰의원 원장·박종훈·박준영 오운의원 삼성점의 원장이 각각 강연자로 참여했다. 휴젤 측이 참석한 해외 의료진을 대상으로 ▲강연 주제 ▲교육 세션 구성 ▲강연자 우수성 ▲기대 부합 수준 등에 대한 종합적인 사후 설문을 진행한 결과 98.4%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비씨월드제약, 현금배당·주식배당 결정

비씨월드제약이 책임경영과 주주친화 정책의 일환으로 현금배당 및 주식배당을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현금배당은 1주당 100원으로 2.5%의 시가배당율에 해당한다. 특히 최대주주 홍성한 대표이사는 3년 연속 현금 무배당을 결정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책임경영 의지를 확고히 드러냈다. 이와 함께 회사는 5년 만에 주식배당 결정을 결정하며 주주친화 정책을 한층 강화했다. 보통주 1주당 0.1주가 배당되며 배당 주식 총수는 84만3856주로 발행주식 총수 889만2384주 중 자기주식 45만3819주를 제외한 843만8565주를 대상으로 산정됐다.
◆마크로젠, '반려견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 론칭

마크로젠의 반려동물 유전자검사 브랜드인 '마이펫진(myPETGENE)'이 '반려견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를 론칭했다고 13일 밝혔다. 마이펫진은 '반려견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를 통해 기본적인 장 질환 및 관절염·피부염·행동장애·비만·당뇨·심혈관 질환·신부전 등 총 8가지 항목 분석을 제공한다. 반려동물의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의 분포와 다양성을 분석하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크로젠은 차세대 시퀀싱(NGS) 플랫폼과 자체 구축한 국내 최대 규모의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반려동물 장내 미생물 분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반려인들은 마크로젠이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관리 가이드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선제적인 반려동물의 영양관리 및 예방이 가능하다. 향후 마크로젠은 반려견 장내 미생물 분석을 시작으로 반려묘 장내 미생물 분석까지 서비스를 확대 개발할 계획이다. 또 장내 미생물 불균형 분석뿐 아니라 구강 및 피부 미생물 검사 등 전문 분석 서비스를 통해 반려동물의 유전질환을 조기에 예측하고 맞춤형 식습관 및 운동 관리 솔루션을 제공해 질병 예방과 건강 관리를 돕고자 한다.
◆포씨게이트, 고려대의료원 '모바일 입원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지오영의 병원 IT솔루션 전문 자회사 포씨게이트가 최근 고려대학교 의료원의 모바일 입원 플랫폼 구축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고려대의료원의 이번 사업은 모바일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환자들의 편의성과 병원 관리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추진된다. 포씨게이트는 이를 위해 큐어링크 솔루션을 활용해 내년 상반기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안암병원·안산병원 등에 적용되는 고려대의료원 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입원 플랫폼 시스템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큐어링크 솔루션은 병원정보시스템(HIS)와 카카오톡 채널을 하나로 연결해 환자들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알림톡 만으로 병원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IT 기술이다. 고려대의료원 모바일 입원 플랫폼 역시 환자들이 원무 창구를 찾을 필요 없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입원접수부터 병실배정, 입원약정서 작성 등의 수속 절차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시지바이오, 인도네시아 의료진 교육 아카데미 성료

시지바이오가 인도네시아 의료진을 대상으로 진행된 '2024 시지바이오 아카데미 Visiting Clinician Program(VCP) – 에일린&럭스&볼라썸'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최신 미용성형 트렌드와 한국의 첨단 생산 기술을 소개하며, 글로벌 의료진의 학습과 교류를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VCP는 시지바이오가 글로벌 시장에서 선보이는 대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번 아카데미는 해외 의료진에게 한국의 미용성형 기술과 제품을 전수하고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번 프로그램은 인도네시아 의료진을 대상으로 마련됐으며 참가자들이 에일린·럭스·볼라썸을 활용한 최신 시술 기법을 라이브 시술을 통해 확인하고 한국의 선진 기술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에어스메디컬, RSNA 2024서 딥러닝 알고리즘·알츠하이머 임상 연구 초록 발표

에어스메디컬이 'RSNA 2024(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24)'에서 '스위프트엠알(SwiftMR)'의 딥러닝 알고리즘과 알츠하이머 임상 연구 초록을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에어스메디컬의 스위프트엠알 연구팀을 총괄하는 정근우 공동 창업자는 스위프트엠알의 고유한 핵심 알고리즘인 'All-In-One Deep Learning Framework'에 대해 발표했다. 에어스메디컬에 따르면 대부분의 기존 MR 영상 복원 딥러닝 알고리즘은 K-space sampling의 여러 측면 중 random 또는 uniform undersampling 한 가지 측면에서만 영상 품질을 개선할 수 있었다. 학습 인풋 시뮬레이션에 있어 다각적이지 못한 시나리오 커버리지로 인해 최적의 성능이 유지되는 촬영 조건이 제한적이었다고 정근우 공동 창업자는 설명했다. 스위프트엠알의 핵심 딥러닝 알고리즘은 기존 시장의 한계를 뛰어넘어 K space sampling의 모든 측면에서 영상 품질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상세한 딥러닝 학습 설계 과정을 포함한 실제 MR 영상 결과를 통해 스위프트엠알의 MR 영상 복원 성능을 선보였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큐라클-맵틱스 "급성 신손상·만성 신부전 치료제 개발 순항"

큐라클이 맵틱스와의 협업을 통해 신장질환 치료제 MT-101의 개발이 순항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큐라클과 맵틱스는 지난 7월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혈관내피기능장애로 인한 난치성 질환을 대상으로 8개의 항체 파이프라인을 함께 개발 중이다. 그중 MT-101은 급성 신손상(AKI)과 만성 신부전(CKD) 치료제로 개발 속도가 가장 앞서 있다. MT-101은 Tie2 활성화 항체로 혈관내피세포의 Tie2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해 혈관을 안정화시키는 First-in-Class 신약이다. 최근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이 Tie2 항체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큐라클은 이 가운데 맵틱스 항체의 Tie2 활성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측에 따르면 급성 신손상 및 만성 신부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병인기전 중 하나가 신장혈관 손상이다. MT-101은 급성 및 만성 신장질환 동물 모델에서 혈중 크레아티닌과 요소질소 수치를 낮추고 신장 조직에서 혈관내피세포 안정화 관련 바이오마커를 개선하는 결과를 보이며 신장혈관 손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입증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유바이오로직스, 춘천 V Plant EAEU GMP 인증 획득

유바이오로직스 춘천 V Plant가 러시아 산업 및 무역부로부터 EAEU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GMP) 인증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인증은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의 GMP를 동시에 인증 받은 것으로 글로벌 백신 제조 및 품질 경쟁력을 재확인한 성과로 평가된다. EAEU의 총 인구는 1.8억명 이상으로 향후 높은 경제 성장과 함께 바이오 의약품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GMP인증을 바탕으로 향후 이들 국가들에 백신을 포함한 바이오의약품 수출, 기술이전 및 위탁개발생산(CDMO) 등 다양한 비즈니스가 가능해지게 됐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 동아에스티170900
- HLB028300
- DXVX180400
- 대웅제약069620
- 엑셀세라퓨틱스373110
- 엔젠바이오354200
- 휴젤145020
- 비씨월드제약200780
- 마크로젠038290
- 큐라클365270
- 유바이오로직스206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