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시대, 임대사업·관리업체 뜬다

[딜사이트 공도윤 기자] 전세시대가 가고 월세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주택 임대차 시장 거개량 중 월세가 44.2%를 차지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과거 전세제도는 주택 가격상승으로 임차인과 임대인 모두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지만 저금리로 집주인들이 자본이득 대신 시중금리 이상의 안정적 현금흐름 확보가 가능한 월세를 선호하고 있다


윤창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28일 “국내에서 월세 중심의 임대주택 시장 확대는 불가피한 흐름이다. 이미 90년대 중반부터 우리나라와 비슷한 경험을 한 일본의 사례를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은 90년대 중반부터 초고령화, 1인 가구 증가로 임대주택 수요가 빠르게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기업형 임대관리 사업자와 개발 계획 수립, 건설, 임대 중개, 공실 관리 등 부동산 서비스를 일괄 제공하는 종합부동산업체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주택 산업의 영역이 단순 시공과 분양에서 복합 주거 서비스 활동 중심으로 이동했다.


윤창민 연구원은 “종합부동산회사 1위 기업인 미쓰이부동산이 대표적인 사례”라며 “미쓰이부동산은 시공과 분양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주택 임대 및 관리 사업, 도시재생 개발사업으로 매출 다변화를 이뤘고, 전체 매출에서 임대 및 자산관리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도 집을 짓기만 하면 팔리는 시대는 지났다”며 “일본처럼 지어진 주택을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직 일본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임대주택 및 종합부동산 서비스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하지만 최근 정부의 확고한 임대주택 시장 확대 의지를 볼 때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일례로 중산층 임대주택을 표방한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에 참여하는 민간 기업들에 세제 혜택, 자금 지원을 통해 시장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016년 경제정책 방향에서도 뉴스테이 사업자 지원액을 8000억원에서 1조 3000억원으로 늘렸다.


윤 연구원은 “비건설 대기업들의 자발적인 주택 임대사업 진출도 주목할 만하다”고 전했다. KT는 일본 최대 임대주택업체 다이와하우스와 옛 전화국 부지를 활용해 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외환은행과의 합병으로 폐쇄 후 방치돼 있던 역세권 점포를 활용한다. 부산과 대구 등 은행 점포 4곳이 822실 규모의 임대 오피스텔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이에 윤 연구원은 “부동산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주식시장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며 “건설사 내에서는 단순 시공 위주의 사업에서 탈피해 임대 시장으로 밸류체인을 확대하는 업체들에 관심이 필요하며, 특히 대단지 뉴스테이 입주가 본격화되는 2~3년 뒤부터는 후방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공실률을 낮추고, 임대료 제고를 위한 임대 관리 업체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며 “더불어 임대주택이 활성화 될수록 공실률을 낮추기 위한 맞춤형 인테리어 수요도 늘어나 건자재 업체들도 긍정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표] 국내 임대주택 시장 확대와 관련 기업 리스트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