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뉴스 랭킹 이슈 오피니언 포럼
산업 속보창
Site Map
기간 설정
LG디스플레이
신세계·이마트 대표, 동시 물갈이 왜?
이수빈 기자
2023.09.21 08:17:39
수익성 악화에 따른 문책성 인사로 추정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0일 16시 53분 유료콘텐츠서비스 딜사이트 플러스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희석 전 이마트·SSG닷컴 대표(왼쪽)과 손영식 신세계 대표 (출처=신세계그룹)

[딜사이트 이수빈 기자] 신세계그룹이 강희석 이마트·SSG닷컴(쓱닷컴) 대표와 손영식 신세계백화점 대표를 동시에 교체하는 강수를 뒀다. 최근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이 부진한 실적을 지속해 온 까닭이다. 또한 강 전 대표가 주도한 그룹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가 예상보다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는 데다 손 전 대표의 '명품 유치' 전략이 경쟁력을 잃은 것 역시 이번 인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강희석 전 대표는 2019년 이마트 수장 자리에 오른 후 지난해까지 꾸준한 외형 성장을 이뤄왔다. 2019년 당시 이마트(연결 기준)의 매출은 19조628억원 가량이었지만 지난해 29조3324억원으로 3년 새 53.9%나 성장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익성이다. 2021년까지만 해도 이마트의 영업이익(▲2019년 1507억원 ▲2020년 2372억원 ▲2021년 3168억원)은 매출과 함께 상승 곡선을 그렸지만 지난해 1356억원으로 전년 대비 57.2% 줄었고, 올 상반기엔 마이너스(-) 394억원으로 적자 전환한 상태다. 대규모 점포 리뉴얼을 단행한 데다 강 전 대표가 인수합병(M&A)을 주도했던 G마켓(당시 이베이코리아)이 적자를 지속하고 있는 영향이다. 이 때문에 재계에선 강 전 대표가 실적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강 전 대표는 이마트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듬해 SSG닷컴 대표까지 겸직하게 되면서 온·오프라인 간 시너지 창출이란 책무를 지게 됐다. 강 전 대표가 온·오프라인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출범에 힘을 쏟아온 이유다. 하지만 해당 멤버십 역시 출범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상태다.

관련기사 more
신세계,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임영록 경영전략실장 발탁 이마트에브리데이, 자연주의 '로드샵' 연내 철수 한채양 이마트 대표 "경쟁력 강화에 힘 쏟겠다" 신세계,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유상감자 결정

백화점 부문을 이끌어 온 손 전 대표는 2021년 10월 대표이사직에 올랐다. 그는 신세계그룹에서 30년 넘게 근무한 '명품 전문가'로 그간 쌓아온 명품 유치 능력을 통해 지난해 매출 2조8398억원의 최대 실적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올 들어 명품 수요가 꺾이면서 신세계 백화점은 이전과 다른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해졌다. 상반기만 봐도 매출 3조1393억원, 영업이익 30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8%, 15% 줄었다. 이에 재계에선 신세계그룹이 수장 교체를 통해 명품 의존도를 낮추고 매출 구조를 다각화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강 전 대표가 물러난 이마트 수장 자리는 한채양 조선호텔앤리조트 대표가 이어 받게 됐다. 한 신임 대표는 이마트에브리데이, 이마트24 등 오프라인 유통 사업군의 대표를 모두 맡는다. 또한 SSG닷컴은 공동 대표체제에서 이인영 대표 단독 체제로 전환된다. 이어 백화점 부문 대표는 박주형 신세계센트럴시티 대표가 겸직하게 됐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강 전 대표와 손 전 대표 모두 그룹 성장을 위해 많은 애를 써준 분들"이라며 "아직 퇴임 후의 거처는 정해진 바 없다"고 짧게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사이트S
에딧머니성공 투자 No.1 채널 more
D+ B2C 서비스 구독
Infographic News
유상증자 대표주관 순위 추이 (월 누적)
Issue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