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밸류업 청사진..."매년 30% 성장" 목표
ROE 7%‧주주환원율 40% 달성 추진…"기업‧투자자 동반성장 계획"
셀트리온 본사 전경(제공=셀트리온)


[딜사이트 최광석 기자] 셀트리온이 기업가치 제고와 주주환원 극대화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2027년까지 연평균 30% 매출 성장과 더불어 자기자본이익률(ROE) 7% 이상과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 등을 목표로 세웠다.  


셀트리온은 18일 ▲매출성장 ▲수익성 개선 ▲주주환원 등을 골자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매출액은 앞서 예고한 것처럼 올해 목표 5조원을 달성하고 20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존 제품의 안정적인 성장과 신규 제품의 빠른 시장 안착을 통해 매출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회사는 지난해 램시마, 트룩시마 등 기존 제품들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램시마SC(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신규 제품의 매출 비중이 기존 26.1%에서 38.4%로 상승하며 역대 최대 매출인 3조5573억원을 달성했다.


나아가 최근 허가 제품의 수가 빠르게 늘며 올해부터 매출 증가세도 가파를 전망이다. 회사의 제품 라인업은 기존 6개 제품에서 최근 5개가 추가되며 현재 11개까지 늘어났고 2030년까지 22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품 확대로 타깃하는 글로벌 시장규모도 올해 138조원에서 2030년 261조원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아울러 합병 후 원가경쟁력이 개선되며 진입 가능한 시장이 확대되고 상업화 제품의 증가로 묶음판매(번들링) 전략 구사가 가능해진 점도 매출 확대 전망 요인으로 꼽힌다. 더불어 직접 판매 체계를 구축해 유연한 현지 공급을 진행하면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회사는 올해부터 수익성 개선 효과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고 소진을 비롯해 ▲생산성 개선(Titer Improvement) ▲3공장 생산 확대 ▲기존제품 개발비 상각 종료 등에 따라 매출원가율(원가율)이 빠르게 낮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실제로 2023년 말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직전 63%에 육박하던 원가율은 지난해 45% 수준까지 하락했다. 회사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원가율을 낮춰 2027년 연평균 20%대까지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 과거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보유했던 글로벌 판권과 관련한 약 11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상각이 지난해 마무리되면서 올해부터는 이익 레버리지 효과도 뚜렷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궁극적으로는 수익성 개선을 통해 지난해 2.4% 수준인 ROE를 7% 이상으로 올린다는 목표다.


회사는 기업과 투자자들의 동반 성장을 위한 주주환원 계획도 대폭 강화한다. '주주가치 제고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실천한다'는 주주와의 약속을 적극 이행하기 위한 목적이다. 


먼저 배당과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통해 적극적인 주주환원을 추진하고 비과세 배당 추진 등 추가적인 주주가치 제고 활동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연결순이익 대비 평균 주주환원율 4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이익(감가상각 전 영업이익-자본적 지출) 대비 30%를 목표로 현금배당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예정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비전을 제시하고 주주환원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젝트를 발표했다"며 "확고한 기업가치 구축과 최고 수준의 주주환원정책으로 투자자들과 동반 성장하며 글로벌 빅파마 도약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