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화경 "적자폭 점진적 해소…M&A 활성화도 기대"
"부동산 관련 대출자산 정리 속도 관건…펀드 조성해 PF 매각 수요 창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21일 2024년 결산실적 설명 기자간담회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공=저축은행중앙회)


[딜사이트 최지혜 기자]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저축은행업권의 적자가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와 브릿지론 정리를 최우선 과제로 시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를 계기로 저축은행 M&A(인수합병) 활성화가 될 것이란 기대감도 비쳤다.


오 회장은 21일 열린 저축은행업권 실적 관련 설명회에서 "지난해 하반기 약간의 흑자가 났지만 금융당국으로부터 충당금 강화 주문을 받아 400억원가량을 더 쌓으면서 순손실이 200억원정도 증가했다"며 "올해 상반기의 흑자전환 여부는 부동산 관련 자산의 충당금 적립 여부에 달렸다"고 밝혔다. 저축은행들은 평균적으로 부동산 관련 자산에 대해 30%의 충당금을 쌓고 있다. 이에 관련 자산을 줄여나가며 충당금 부담을 덜겠다는 의미다.

 

국내 79곳의 저축은행은 지난해 3974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전년 대비 31.0% 줄인 규모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37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만큼 하반기 손실 증가폭은 상대적으로 축소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 저축은행업권의 실적의 흑자전환 가능성이 엿보인 만큼 부동산 PF 자산 정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말 기준 저축은행 업계 전체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13조원 규모로 레고랜드 사태가 발생한 2022년말 26조원에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금융당국 역시 부동산 PF 경공매를 지원하고 나선 만큼 중앙회 역시 부실자산 정리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오 회장은 "자산 건전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지만 PF와 브릿지론 관련 정리 속도가 관건"이라며 "매각 대상은 많지만 매수자가 적어 시장 유동성이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앙회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펀드를 조성해 수요를 창출하고 부실채권(NPL)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21일 2024년 결산실적 설명 기자간담회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공=저축은행중앙회)

지난해부터 화두에 오르고 있는 저축은행의 자산 건전성 문제는 안정적 자본비율과 높은 유동성으로 방어할 계획이다. 오 회장은 국제결제은행(BIS)자본비율과 유동성에 대해 "중앙회뿐만 아니라 개별 저축은행에서도 유동성 확보를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으며 한국은행이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등 지원 제도를 마련한 만큼 큰 걱정 없이 유동성 지원이 가능하다"며 "전체적으로 자본의 안전성은 큰 문제가 없고 자산 건전성도 개선되는 추세"라고 강조했다.


오 회장은 금융당국이 전날 내놓은 M&A 규제 완화 방안에 대해서도 긍적적인 입장을 보였다. 저축은행 인수에 대한 금융·비금융권의 수요가 높은 만큼 추가 규제완화가 이뤄질 경우 M&A가 수월히 이뤄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당국은 향후 2년간 자기자본비율 11% 이하 또는 자산건전성 4등급 이하 저축은행에 대해서도 M&A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저축은행 역할 제고방안'을 발표했다. 


오 회장은 "금융당국에 저축은행 M&A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고, 제시한 방안 중 일부는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금융지주사뿐 아니라 증권사와 중견기업 등 다양한 수요가 있는 데다, 오너가 있는 저축은행의 경우 세금 문제로 경영승계 대신 매각을 원하는 경우도 있어 M&A 수요와 공급 의지는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병주 저축은행중앙회 경영전략본부 상무도 "당국의 저축은행 M&A 활성화 방안을 보면 상당히 넓은 범위의 저축은행이 매각 대상이 될 수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금융당국이 주문한 서민금융 확대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오 회장은 "리테일금융 비중이 높은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 가계대출 금융공급이 전년 대비 늘었다"며 "중앙회 차원에서 가계대출과 소상공인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최 상무 역시 "중금리대출에 대해 일정 인센티브를 제공해 서민금융 공급을 활성화하는 한편 기업금융 비중이 높은 지방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영업구역과 예대율을 우대해 가계대출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