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 루머, 사실무근" 공시에도…롯데그룹주 급락[주요매체]
롯데그룹이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는 풍문에 18일 롯데지주 등 계열사들의 주식이 급락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롯데지주는 전 거래일(15일)보다 6.59% 하락한 2만550원으로 장을 마쳤다. 장중 8.86% 떨어진 2만50원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롯데케미칼은 10.22% 하락한 6만5천900원으로, 롯데쇼핑은 6.6% 떨어진 5만8천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각각 6만4천800원(-11.72%), 5만6천100원(-9.66%)까지 떨어져 52주 신저가를 찍었다. 이날 롯데 계열사들이 줄줄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것은 롯데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는 풍문이 증권가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퍼진 영향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롯데쇼핑은 낮 12시 30분경 "현재 거론되고 있는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 관련 루머는 사실무근"이라고 공시했다.
20兆 공격 투자…JY 공들인 삼성 기흥 R&D 거점 시동[이데일리]
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낸다. 기흥캠퍼스에 구축 중인 최첨단 반도체 R&D 단지에서 설비 반입식을 개최하며 '기술 초격차' 시동을 걸었다. 이재용 회장은 그동안 삼성 반도체가 태동한 기흥캠퍼스의 새로운 R&D 거점에 공을 들여왔다. 삼성전자는 18일 경기 용인 기흥캠퍼스에서 차세대 반도체 R&D 단지인 'New Research & Development-K'(NRD-K) 설비 반입식을 열었다. NRD-K는 미래 반도체 기술 선점을 위해 건설 중인 10만9000㎡(약 3만3000평) 규모의 최첨단 복합 R&D 단지다. 오는 2030년까지 총 투자 규모가 20조원에 달한다.
코스피 상장사 3분기 누적 영업익 156兆… 역대 최대[조선비즈]
유가증권(코스피) 시장 상장사의 올해 3분기까지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1조원 넘게 늘어난 156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다만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거래소는 18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2024년 3분기 결산실적'을 발표했다. 이 자료는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개별 706개사, 연결 614개사)의 올해 3분기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집계했다. 한국거래소 측은 3분기 누적 코스피 상장사의 연결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치고, 개별 영업이익은 2018년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안정때까지 자사주 매입…대차계약 해지요청"[뉴시스]
바이오 기업 셀트리온이 최근 악화되고 있는 국내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수시로 자사주 매입 진행을 추진한다. 18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지난 16일 홈페이지에 '당사 사업 진행과 향후 전망에 대한 입장'을 게재해 "최근 악화되고 있는 국내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주가의 과도한 하락을 막기 위해 신속히 추가 자사주 매입을 추진하며, 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자사주 매입을 수시로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올해 3번의 자사주 매입을 완료했다. 현재 진행 중인 4번째 자사주 매입의 현재 취득분까지 감안하면 올해만 182만주, 3351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얼라인파트너스, "두산밥캣 기업가치 제고 위해 美 상장하라"[뉴스1]
국내 행동주의 펀드 얼라인파트너스가 18일 두산밥캣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미국 상장을 제안했다. 이창환 얼라인파트너스 자산운용 대표는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TWO IFC몰 브룩필드 홀에서 기업가치 제고 방안 관련 간담회를 열고 "두산밥캣이 자본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될 수 있는 방안 중 가장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것이 미국 상장"이라고 밝혔다. 얼라인파트너스 분석에 따르면, 미국 노스타코타에서 설립된 두산밥캣은 최근 4년간 미국 매출 비중이 74%에 달하며 실적 공시도 미국 달러 기준으로 이뤄진다. 북미매출이 연 평균 18.5% 성장하고 R&D 인력과 생산시설이 북미에 있는 것도 미국 상장에 유리한 근거다. 미국 상장을 통해 주요 사업지와 상장지를 일치시키면, 투자자들의 이해를 제고하고 각종 인덱스 편입을 통한 패시브 자금 유치, 리서치 커버리지 확대 등 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2.0 시대' 투자공식 … 조선·방산 ETF로 통한다[매일경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외국인 투자 수요가 트럼프 수혜주에 집중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조선·방산 등 이른바 트럼프 수혜주만 집중적으로 담고 있다. '관세'를 강조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정책 드라이브가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수혜주를 제외하고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가장 주목받는 종목은 '조선'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당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조선업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MRO는 국내 조선업계가 새로운 먹거리로 공들이고 있는 분야다. 이에 방산주 상장지수펀드(ETF)가 잇달아 상승세를 탔다. 미국 대선이 있던 지난 5일부터 13일까지 'TIGER 조선TOP10'은 11.79% 올랐다.
GS건설 '자이' 22년만에 새단장…허윤홍 "근본 튼튼히 하는 혁신하겠다"[주요매체]
"이제는 기업이 혼자 만들어 출시하는 게 아니라 고객과 임직원이 함께 참여하고 공감하는 브랜드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현장 목소리를 들어 다시 한번 살기 좋은 '자이'를 만들겠습니다." 허윤홍 GS건설 대표는 18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자이갤러리에서 '자이'(XI)의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BI)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자이 리이그나이트'(Xi Re-ignite)이름으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허 대표는 새 자이의 가장 큰 차이점을 기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고객) 중심으로 지향점이 바뀐 것을 지목했다. 원래 'eXtra Intelligent'(특별한 지성)'의 약자였던 자이의 브랜드 의미를 'eXperience Inspiration'(일상이 특별해지는 경험)으로 바꾼 것도 이런 맥락이다.
현대제철, 1년 전 매물 내놨던 中 법인 매각 완료[이데일리]
현대제철이 수요 부진과 실적 악화로 지난해 매물로 내놨던 중국 베이징법인 매각을 완료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기아의 현지 점유율 하락과 중국 철강 시장 경쟁력 심화하면서 중국 법인 매각을 추진해왔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중국 베이징법인(현대 스틸 베이징 프로세스)의 자산과 부채를 올 3분기 모두 처분했다. 상반기 미리 처분한 중국 충칭법인의 자산 및 부채를 포함한 2개 법인의 처분 이익은 74억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이 매각한 베이징법인과 충칭법인은 지난 2002년, 2015년 각각 설립됐다. 국내서 들여온 자동차 강판을 가공해 현대차·기아의 현지 공장에 납품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 현대차·기아의 시장 점유율이 후퇴하며 현대제철의 중국 법인 역시도 실적 악화를 피할 수 없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