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코인피하지 못한 유통량 문제

[딜사이트 김진욱 기자] 국내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대부분 유통량 문제로 논란을 겪었다.
위메이드의 '위믹스(WEMIX)'를 비롯해 효성과 관련된 '갤럭시아(GXA') 역시 유통량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다날의 페이코인(PCI)도 예외는 아니었다.
◆ 의혹의 시작...7억개 페이코인의 행방
2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 3월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페이코인의 유통량과 관련한 의혹이 제기됐다. 페이코인 사업을 진행하고 있던 발행사 '페이프로토콜AG(PayProtocol AG)'는 가상자산사업자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 이 과정에서 7억개가량의 페이코인의 행방이 불투명하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당시 페이코인의 총발행량은 19억개였다. 그런데 전체의 1/3이 넘는 약 7억개 행방이 불분명하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 이는 시장 내에서 커다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한 금융 비즈니스의 한 축에 있는 다날의 입장에서 페이코인의 신뢰도의 타격은 기업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금융당국은 해당 코인들이 자금세탁행위에 악용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금융위는 해당 물량이 누구에게 배분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페이코인을 운영하는 페이프로토콜 측은 비밀유지계약(NDA)을 이유로 수령자 명단 공개를 거부해 논란을 키웠다.
투자자들의 불안은 더 커질 수밖에 없었고 은 더 큰 불안감을 느꼈으며, 규제 당국과의 갈등도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해당 문제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가상자산사업자 신고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페이코인은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상폐가 되는 절차를 밟게 됐다.
◆ 석연치 않은 해명
논란이 지속되자 페이코인은 당시 총유통량에 대한 사용처를 공개하며 해명에 나섰다.
당시 페이코인 측은 ▲리저브(2억941만개) ▲팀 인센티브(9500만개) ▲어드바이저(1억9700만 개) ▲마케팅(2억5764만개) ▲에코시스템 인센티브(4억6157만개) 등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4억개는 미유통 물량이다. 이는 당시 백서에 제시한 내용이다.
이 가운데 팀 인센티브와 어드바이저, 에코시스템 인센티브는 제 3자에게 배정된 수량이다. 이들의 총합은 약 7억5300만개였다.
페이코인 측은 "행방을 알 수 없는 7억개 페이코인은 우리가 마스킹해 계약서를 송부한 팀 인센티브와 어드바이저, 에코시스템 인센티브 수량에 해당한다"며 "단지 계약에 포함된 비밀유지 조항으로 인해 회사가 자유롭게 공개할 수 없어서 발생한 문제일 뿐, 자금세탁 등의 용도로 활용된 바 없다"고 강조했다.
'에코시스템 인센티브' 등의 목적으로 이미 백서에 명시한 물량으로, 당초 계획보다 더 보수적으로 유통해 왔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었다.
금융위는 이런 상황에서 페이코인 측에 해당 코인을 누구에게 준 것인지 밝히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페이코인 측은 비밀유지를 전제로 계약을 맺었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당시를 기억하는 한 업계 관계자는 "당국에서 관련 문제로 인해 가상자산사업자 신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당시 파다했다"며 "결국 페이코인의 신뢰도 문제 때문에 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라고 말했다.
페이코인의 유통량 논란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투자자 보호와 직결된 사안이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투명한 유통량 공개는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명확하게 밝히지 못할 경우 투자자 신뢰 상실과 시장 퇴출이라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페이코인은 이후 거래소 재상장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한 번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특히, 기존 투자자들의 손실 보상 문제도 명확한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으며, 공시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미흡함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