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 이규연 기자]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퇴직연금 RA(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시장에서도 경쟁 채비를 갖추고 있다. 두 기업은 국내 자산운용업계의 다양한 상품 시장에서 선두 다툼을 벌여왔는데 새 먹거리를 놓고도 일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은 최근 IT로드맵 수립 컨설팅 업체를 선정하면서 컨설팅 수행 목표에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등 사업 영역 확대에 따른 대응전략'을 포함했다. 이 문구를 자산운용업 변화에 맞춘 IT 기술 활용 전략 사례로 명시하기도 했다.
로보 어드바이저는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이 투자자에게 투자자문을 하거나 자금 운용을 맡기는 투자일임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동안 로보 어드바이저는 퇴직연금 대상으로 투자자문만 가능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2월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목적으로 투자일임업자 17곳에서 신청한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했다. 그 뒤 파운트투자자문(투자일임)-하나은행(퇴직연금)이 손잡고 3월 28일 첫 서비스를 개시했다.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는 코스콤 테스트베드에서 검증된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 성향에 맞는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자동 생성한다. 그 뒤 가입자가 아닌 로보 어드바이저가 이 포트폴리오에 따라 개인형퇴직연금(IRP) 적립금 운용을 지시하는 방식이다.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432조원을 넘어섰다. 10년 뒤에는 10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 역시 퇴직연금 시장 확대에 수혜를 입을 사업 분야로 지목된다.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 자체의 성장성도 상당하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1조4700억달러(약 2100조원) 규모의 퇴직연금이 로보 어드바이저를 통해 운용되고 있다. 이는 전체 DC형(확정기여형) 및 개인형IRP 적립금의 5% 수준이다.
이에 주목해 삼성자산운용은 14일부터 쿼터백자산운용과 공동으로 소유한 알고리즘을 활용한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형 서비스를 삼성증권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쿼터백자산운용은 국내 최초로 로보 어드바이저 펀드를 내놓은 핀테크형 자산운용사다.
기존의 퇴직연금 운용 노하우와 마케팅 역량에 쿼터백자산운용의 로보 어드바이저 전문성을 더했다는 게 삼성자산운용의 설명이다. 삼성자산운용은 2019년 국내 최초로 퇴직연금 DB형(확정급여형) 전용 공모펀드를 내놓는 등 퇴직연금 경험이 풍부한 자산운용사다.
나아가 삼성자산운용은 IT로드맵에도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를 포함하면서 관련 사업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삼성자산운용이 ETF 정보 플랫폼 'FunETF'를 운영하는 등 IT기술과 WM(자산관리) 접목에 관심을 보였던 흐름을 이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경우 알고리즘을 자체적으로 개발한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 'M-ROBO'를 밀고 있다. 미래에셋증권과 시중은행 등 퇴직연금 사업자와 협업해 이달 중순부터 이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M-ROBO는 투자자의 개인사항을 종합 분석해 최적화된 포트폴리오를 자동 설계한 뒤 시장 변화에 따라 리밸런싱한다"며 "높은 수준의 AI 기술에 운용인력의 경험과 운용역량 지식을 더해 차별화된 강점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앞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17년 국내 첫 AI 공모펀드 '미래에셋AI스마트베타EMP'를 선보였다. 2023년에 AI솔루션본부 조직을 신설하고 그해 호주 로보 어드바이저 전문 운용사 '스탁스팟'을 인수하는 등 AI 관련 사업도 꾸준히 확대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퇴직연금 로보 어드바이저 투자일임 서비스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두 기업의 경쟁관계 역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운용사 펀드 및 투자일임 운용자산(AUM) 기준으로 1위는 삼성자산운용, 2위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다.
최근 주목받는 ETF(상장지수펀드) 시장에서도 순자산총액 1위 삼성자산운용과 2위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점유율 5%포인트 정도의 격차를 두고 다투고 있다. 퇴직연금 관련 주요 상품인 TDF(타깃데이트펀드) 시장에서는 1위가 미래에셋자산운용, 2위가 삼성자산운용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