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사이트 배지원 기자] 금융위원회가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의 기업금융 기능 강화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발표하면서 삼성증권이 종합투자계좌(IMA) 인가를 받는데 시간이 더욱 소요될 전망이다. 금융위는 종투사가 기업금융 기능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도록 단계마다 최소 2년 이상의 운영 기간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9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종투사는 발행어음 인가를 받은 후 2년 이상 해당 업무를 영위한 뒤에야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투사로서 IMA 인가를 신청할 수 있다.
삼성증권은 최근 발행어음 인가를 준비하며 향후 IMA 사업 진출 의사를 밝혀왔다. 현재 삼성증권의 자기자본은 지난해 말 기준 7조원 규모다. IMA 인가 요건인 8조원에 못 미치는 만큼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발행어음 인가 후 2년의 운영 기간을 거쳐야 IMA 인가 신청이 가능해져, 다른 증권사에 비해 더 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반면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자기자본 8조원을 넘겨 IMA 인가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이들은 발행어음 사업을 영위한 지 2년이 경과해 IMA 사업자 지정을 위한 신청을 준비 중으로 알려졌다. 경쟁사인 NH투자증권과 KB증권도 발행어음을 충분히 발행하면서 초대형IB 라이선스를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지난 2017년 발행어음 인가를 신청했지만 '유령주식 배당사고'로 신사업 진출에 2년간 제동이 걸리면서 이듬해 인가 신청을 자진 철회했다.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으로 재판을 진행하면서 대주주 적격성 문제를 우려한 탓에 삼성증권도 인가 신청을 하지 않았다. 최근 1, 2심 재판에서 이 회장이 무죄를 선고받으면서 적격성 문제가 해소됐다.
삼성증권은 최근 발행어음 인가 준비를 위한 회의체를 발족하고 논의를 거치고 있다. 다만 발행어음 인가가 타사 대비 늦어지면서 자기자본 규모가 비슷한 회사보다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모습이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당장 IMA 인가를 계획한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목표로 이야기한 것"이라며 "아직 자기자본 8조원 기준도 채우지 못했고, 발행어음 인가 신청도 내부 검토 중인 상태라 계획에 차질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증권업계는 IMA 사업 진출에 속도전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이 IMA와 발행어음의 통합 한도를 자기자본의 300%로 설정하고, 모험자본 공급 의무를 도입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선제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경쟁 우위를 점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발행어음의 만기는 1년 미만으로 제한돼 있지만 IMA가 가능해지면 수신 펀딩 기간이 더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만큼 원금보장에 실적 배당이 가능한 다양한 상품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기자본 규모나 발행어음 한도 활용 비중에서 이미 앞서나가고 있는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이 다시 한번 먼저 초격차를 벌릴 기회로 IMA 라이선스를 활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