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학 ON]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Yes24에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공급 外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Yes24에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공급


[딜사이트 이호정, 최유라, 박민규, 송한석 기자]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DLS)이 Yes24 물류센터 '예스24 SFC(Smart Fulfillment Center)'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7일 밝혔다. 경기도 파주시에 신축될 '예스24 SFC'는 연면적 52,450㎡(약1만5870평), 지하1층, 지상4층 규모로, 하루 평균 입고 28만 권, 출고 20만 권, 보관 450만 권을 처리할 수 있으며, 중부권 온라인 도서 물류를 담당한다. 준공 예정일은 2026년 3월이다. DLS는 물류센터 설계 외에도 ▲자율이동로봇(Autonomous Mobile Robot, AMR) 공급 ▲AMR 3D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물류센터 전체 설비의 운영, 제어,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한데 모은 통합 물류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맡는다. 특히 DLS는 이번 프로젝트에 단일 물류센터 기준으로, 동아시아 최대 규모인 544대의 AMR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DLS가 공급하는 AMR은 최대 800kg의 가반하중을 지녔으며, 피킹(Picking, 상품을 찾는 일)과 보관이 동시에 가능하다. 상품이 비치된 2.7m 높이의 랙(Rack, 선반)을 작업자에게 직접 가져다주는 GTP(Goods to Person) 방식으로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에 로봇관리시스템(Robot Management System, RMS)을 접목해 고빈도 주문 상품을 작업자에게 최단거리로 배치하고, AMR 이동 동선 단축, 데이터 분석 및 리포트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처럼 DLS의 AMR은 동선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어 대형 물류센터부터 도심 내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icro Fulfillment Center, MFC)까지 다양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OCI홀딩스, 스포츠·문화행사 등 현지화 전략으로 말레이시아 공략


OCI홀딩스는 최근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 거점인 말레이시아 사락왁주에서 러닝 대회와 배드민턴 클래스를 통해 정재계 주요 인사 및 지역민들과 우호를 다졌다고 7일 밝혔다. OCI홀딩스는 지난 9월 29일 배드민턴 스타 이용대 선수(이용대배드민턴발전협회)와 함께 꿈나무 육성 및 지역민의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말레이시아푸트라대학교(UPM) 빈툴루 캠퍼스에서 배드민턴 원데이 클래스를 개최했다. 이날 오전 이 선수는 빈툴루 배드민턴 협회에서 추천한 유소년 선수 30명에게 서브, 스매시, 포핸드 스텝, 서비스 리턴 등 기본 자세부터 상황별 원포인트 레슨 등을 제공했고 오후에는 동호인 및 지역 주민들과 친선경기를 진행했다. 이 선수의 방문에 현장에는 300여 명이 넘는 인파가 몰리는 등 그의 아이돌급 인기에 체육관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찼다. OCI홀딩스는 지난 9월 28일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쿠칭에서 열린 '쿠칭 그린런 2024'(Kuching Green Run 2024)에 공동 주관사로 참여했다. 올 하반기까지 미 대선, 대중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 M을 위한 지역 사회와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활동을 펼치는 등 태양광 산업의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무벡스, 자율이동로봇 개발 박차…국책과제 주관기관 선정


현대무벡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 기술개발 지원사업' 공모에서 '고정밀 대형 자율이동로봇 플랫폼 설계 및 통합 구동 모듈 실증' 과제의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과제는 총사업비 약 94억원 규모로 이 중 70억원이 국비로 지원된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전문기관으로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주관기관 현대무벡스를 필두로 5개 기관이 연구·개발에 공동 참여한다. 현대무벡스는 2027년까지 초대형 AMR 플랫폼 설계와 구동 모듈 실증사업을 수행한다. 가반하중(로봇이 적재·이송할 수 있는 무게) 2톤·5톤·10톤 3종의 AMR을 개발하며, 핵심기술을 국산화하는 것이 과제의 목표다. 특히 10톤 이상 고중량 이송이 가능한 초정밀 대형 AMR은 단순한 물류로봇의 차원을 넘어 모든 산업 현장에서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래형 차세대 모빌리티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대무벡스는 미래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물류로봇 고도화와 함께 AI 도입 등 그룹사 현대엘리베이터와 함께 디지털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제1회 개발자 회의를 개최해 AI·로봇 기술의 고도화 방향을 논의했고, 최근에는 '생성형 AI'의 업무 도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내 'AI 콘테스트'를 열어 ▲기술개발 ▲생산성·효율성 증대 ▲업무개선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등 AI 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AI 콘테스트'는 오는 23일 현대그룹 대강당에서 개인 및 팀별 발표를 통해 내부적으로 공유할 예정이며, 우수한 아이디어는 적극 적용할 방침이다.


HD현대인프라코어, 울산HD 홈경기서 '디벨론 데이' 개최


HD현대인프라코어는 지난 6일 울산 문수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울산 HD FC와 김천 상무 FC의 K리그1 정규 라운드 최종 33라운드 경기에서 2024 시즌 '디벨론(DEVELON) 브랜드데이'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HD현대인프라코어의 건설기계 브랜드 '디벨론(DEVELON)'은 울산 HD FC의 스폰서로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 2년 연속 축구팬들과 현장에서 만나는 행사를 개최했다. 또한 HD현대중공업 임직원과 가족 500여 명, HD현대1%나눔재단이 후원하는 지역 결연 아동 및 서부초 합창단 100여명 등 총 700여명이 경기를 함께 관람하며 울산 HD FC의 승리를 기원했다. 더불어 HD현대인프라코어는 현장을 찾은 축구팬들이 디벨론과 추억을 쌓을 수 있도록 볼거리와 이벤트를 마련했다. 조영철, 오승현 HD현대인프라코어 대표는 시축으로 경기의 시작을 알렸으며 임직원과 고객의 자녀들이 에스코트 키즈로 참여해 경기에 나서는 선수들을 배웅했다. 울산 HD FC 선수들은 브랜드 데이를 맞아 'DEVELON' 로고가 새겨진 홈 유니폼을 입고 그라운드를 누볐다. 아울러 HD현대인프라코어는 경기장 외부에 디벨론 굴착기 2대로 야외포토존을 조성해 일반인들이 평소에 접하기 힘든 실물 장비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게 했고 미니축구게임 부스와 네컷사진 부스 등을 차려 팬들에게 경품과 사진을 선물했다.


대한조선, 친환경 선박 기술 국제 인증 잇달아 획득


대한조선은 지난 9월 4일, 영국선급(LR)으로부터 암모니아 이중연료추진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공동개발(JDP)과 지난 9월 6일에는 노르웨이선급(DNV)로부터 LNG 이중연료추진 셔틀탱커선 개념 설계 인증(AIP)을 연이어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개념 설계 인증(AIP)은 대상 선박의 설계 개념과 그 내용에 적합성을 검증받는 절차다. 먼저 대한조선은 지난해 9월부터 영국선급(LR)과 차세대 친환경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의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 공동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목표 시점은 25년 1분기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대한조선은 삼성중공업의 공기윤활장치(ALS)인 '세이버에어'(SAVER Air)를 적용해 기존대비 약 4% 수준의 연비를 절감시키는데 성공했다. 공기윤활시스템(ALS)은 선체 바닥면에 공기층을 만들어 선박 추진 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장치다. 아울러 대한조선은 지난 9월 6일 노르웨이선급(DNV)으로부터 LNG이중연료추진 기술이 적용된 셔틀탱커 기본인증(AIP)을 획득했다. 셔틀탱커는 해양플랜트에서 생산한 원유를 해상에서 선적해 육상 저장기지까지 실어 나르는 특수목적 선박이다. 실제로 대한조선은 지난 2022년 처음으로 건조한 셔틀탱커 1척을 성공적으로 인도하고 올해 2월 셔틀탱커 3척을 수주하면서 셔틀탱커 건조분야의 기술력을 세계시장에 입증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중소·벤처기업 해외 판로 개척 지원으로 상생경영 실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도우며 상생경영의 미담을 만들고 있다고 7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원 기업들을 대상으로 금액 지원을 포함해 다양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해외 바이어와 수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올해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카사바 전분을 기반으로 바이오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와 이를 응용한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스타트업 '그린웨일글로벌'의 수출에 기여한 성과를 들 수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작년 상생협력기금을 활용해 그린웨일글로벌의 생산설비 도입을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그린웨일글로벌은 제품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단순 기금 지원을 넘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해 베트남, 캐나다, 말레이시아 등 국가에서 그린웨일글로벌과 해외 바이어사들과의 B2B 미팅 26건과 업무협약 4건 체결을 지원했다. 그 결과 그린웨일글로벌은 베트남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제조사 BIOSTARCH 등 바이어 2개사와 총 380만달러(한화 약 50억원) 규모의 바이오 플라스틱 원료 공급 계약을 최종 성사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중소·벤처기업 성장 지원을 위한 노력이 긍정적인 사례를 만들며 성공적인 상생경영 모델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평가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중소·벤처기업 해외 시장 판로 개척 지원은 유수 국내 대외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매년 다양한 국가에서 추진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관련종목
관련기사
중화학 ON 309건의 기사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