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원, FIU 현장검사 돌입…심사 지연에 업계 '촉각'
5대 거래소 마지막 FIU 현장검사…VASP 갱신 분수령


[딜사이트 김진욱 기자] 코인원의 가상자산사업자(VASP) 갱신심사가 시작됐다. 5대 원화 가상자산 거래소 가운데 마지막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 21일부터 코인원을 대상으로 현장검사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코인원이 VASP 갱신 신고를 한 데 따른 것이다.


FIU는 심사 승인에 앞서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상 AML 의무 이행 여부와 내부통제 체계 등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이번 검사는 업비트, 코빗, 고팍스, 빗썸에 이어 5대 주요 원화 거래소 중 마지막 현장검사다.


FIU는 최근 빗썸에 대한 현장검사도 연장해 진행 중이다. 빗썸의 경우 미인가 해외 거래소로 대규모 가상자산이 전송된 의혹이 제기되며 검사 강도가 강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FIU는 특금법에 따른 자금세탁방지 의무 이행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데이터 제출 요구 범위와 정밀도를 대폭 높였다.


5대 원화 거래소는 2021년 특금법 개정 이후 신고·수리를 완료했다. 그리고 3년의 갱신 주기가 도래해 지난해 8~10월 FIU에 갱신 신고서를 제출했다.


심사는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 FIU는 지난해 업비트(8월), 코빗(10월), 고팍스(12월)에 대해 현장검사를 마쳤다. 빗썸은 3월부터 최근까지 검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갱신 신고가 수리된 거래소는 한 곳도 없다. 매뉴얼상 신고서 접수 후 3개월 이내에 수리 여부가 결정돼야 하지만, 법적 시한은 명시돼 있지 않다.


업계에서는 FIU의 심사 기준이 더욱 엄격해진 만큼, 다른 거래소들도 현장검사 과정에서 특금법 위반 사실이 적발될 경우 심사가 더욱 길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자들은 갱신 여부가 불확실해 신사업 추진 등 경영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